경제 및 이슈100 버핏 지수란? 버핏 지수 보는 법 (Feat. 워런 버핏이 좋아하는 지수) 투자의 대가가 누구냐고 물으면 100명 중 80명 이상은 워런 버핏을 말할 것입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사장으로 몇 조 단위의 돈을 굴리고 있는 워런 버핏이 주식 시장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버핏 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핏 지수란? 산출하는 방법은? 버핏 지수는 한 나라의 주식시장이 어느 정도로 과열되었는지를 확인할 때 참고하는 지수입니다. 산출방법은 국가의 총 시가총액을 국내총샌산량(GDP)으로 나눈 값 X100입니다. 위의 식을 해석하자면 한 국가에서 이뤄지는 경제 활동에 대비하여 주식시장이 얼마나 큰지에 대한 것을 의미하며 80% 미만이면 매우 저평가된 구간, 80~100%는 저평가된 구간, 100~120%는 고평가 된 구간, 120% 이상은 매우 고평가 된 구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대표.. 2023. 8. 11. JOLTs란? (구인,이직 보고서) 인플레이션이 잡혔는지에 대해서 많은 지표들을 참고할 수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은 역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고용시장을 평가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JOLT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JOLTs(Job Openings and Labor Turnover Survey)란? JOLTs는 구인, 이직 보고서로서 미국 고용노동부가 매월 JOLTs를 발표합니다. 각 산업에서 기업의 구인, 퇴직, 고용에 대해 조사해 집계한 보고서로서 노동력 수요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미국 모든 주의 비농업 시설을 대상으로 금융, 운송, 소매, 교육, IT 등 미국의 모든 산업을 북미 산업 분류 시스템 기준으로 분류하여 통계자료를 만듭니다. 취합은 전달 마지막 영업날까지 계산하여 다음 달 초에 발.. 2023. 8. 10. 하이먼 민스키 모델이란? (Feat.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부동산 시장이나 주식 시장이 우상향을 할 때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것도 중요하지만 투자에 있어서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데요, 오늘은 어떠한 형상으로 붕괴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모델인 하이먼 민스키 모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하이먼 민스키 모델이란? 하이먼 민스키 모델(Hyman Minsky Model)은 과도한 부채로 인한 경기 호황이 끝나고, 채무자가 부채상환을 못하면서 자산을 팔게 되어 자산 가치가 하락하고 금융위기가 시작된다는 것을 의미한 이론입니다. 미국의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가 제시한 이론입니다. 민스키 모멘트라고도 부릅니다. 하이먼 민스키 모델은 2007년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 2008년 세계를 덮친 금융위기에서 등장하면서 유명해졌습니다. 서브프라임 사태에서 부동산의 가격에 거품이.. 2023. 8. 7. 상온 초전도체 'LK-99'란? 전 세계가 대한민국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LK-99는 2020년 한국의 퀀텀에너지연구소에서 최초로 특허를 냈고, 2023년에 퀀텀에너지연구소에서 공개하며 세계에 큰 파장을 불러왔습니다. 초전도체란? 초전도체가 가져올 미래 초전도체는 Superconductor로 특정 온도(일반적으로 극 저온) 이하에서 저항이 0이 되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저항이 0이 되면 발전된 전기가 송전선을 따라 이동할 때 손실이 없어지게 됩니다. 즉, 전기 효율이 급상승하여 인류의 에너지에 대한 고민이 해결됩니다. 또한 초전도체는 자석을 부상시키는 마이스너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요, 초전도체를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시키면 자석이 초전도체 위에 뜨게 됩니다. 자기 부상열차의 원리가 바로 마이스너 효과입니다. 의료계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 2023. 8. 5. 이전 1 ··· 3 4 5 6 7 8 9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