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이나 주식 시장이 우상향을 할 때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것도 중요하지만 투자에 있어서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데요, 오늘은 어떠한 형상으로 붕괴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모델인 하이먼 민스키 모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하이먼 민스키 모델이란?
하이먼 민스키 모델(Hyman Minsky Model)은 과도한 부채로 인한 경기 호황이 끝나고, 채무자가 부채상환을 못하면서 자산을 팔게 되어 자산 가치가 하락하고 금융위기가 시작된다는 것을 의미한 이론입니다. 미국의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가 제시한 이론입니다. 민스키 모멘트라고도 부릅니다.

하이먼 민스키 모델은 2007년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 2008년 세계를 덮친 금융위기에서 등장하면서 유명해졌습니다. 서브프라임 사태에서 부동산의 가격에 거품이 끼게 되었지만 탐욕 구간에 있었고 이어서 공포 및 좌절 구간을 지나며 전 세계적 경제 위기가 찾아왔습니다.
상승하는 가치에 투자하여 자산의 크기를 불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말 가치가 있어서 올라가는 것인지는 꼭 봐야 합니다. 저는 근래에 대한민국의 부동산과 AI 시장이 위의 모델을 따라가고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실 한국의 부동산은 2020년도 부터 급격한 상승을 이어오고 있었고, 올해 초 소폭 하락을 하였다가 현재 다시 전고점을 향해 상승 중입니다. 위의 하이먼 민스키 모델에 적용하자면 공포 구간 바로 직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무조건으로 민스키 모멘트를 따라간다고는 할 수 없지만 투자 시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합니다.
2022.09.20 - [경제 및 이슈] - 세계 최대 규모의 파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세계 최대 규모의 파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요즘과 같이 주식시장이 안 좋을 때마다 저는 과거의 폭락 사태를 돌아보며 마인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의 나스닥 지수, S&P 지수가 떨어지고 있으면 지금 들고 있는 주식을 팔아
hoon4038.tistory.com
'경제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핏 지수란? 버핏 지수 보는 법 (Feat. 워런 버핏이 좋아하는 지수) (0) | 2023.08.11 |
---|---|
JOLTs란? (구인,이직 보고서) (0) | 2023.08.10 |
상온 초전도체 'LK-99'란? (0) | 2023.08.05 |
미국 신용등급 AA+로 강등, 떨어지는 미국 주식 시장 (0) | 2023.08.04 |
YCC란? (Feat. 일본 은행 YCC 정책) (0) | 2023.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