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이슈100

미국 신용등급 AA+로 강등, 떨어지는 미국 주식 시장 이번 주 가장 큰 이슈로는 미국 신용등급이 AA+로 강등된 이슈가 있습니다. 하락 후 미국 장기채권은 치솟고, 나스닥은 2%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오늘은 미국 신용등급 AA+로 강등된 이유와 앞으로의 시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신용등급 AA+로 강등, 이유는?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피치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하향 조정하였습니다. 이유는 미국의 상승하는 국가채무와 계속되는 국회와의 부채한도 협상입니다. 피치의 발표 후 미국 옐런 재무 장관은 "자의적이고 시대에 뒤떨어진 결정"이라고 피치를 비난하였고, 바이든 정부도 "바이든 정부가 들면서 미국이 회복세를 타고 있는데 이러한 결정은 현실에 어긋난다"라고 비판하였습니다. 신용등급 하향 이후 미국의 30년물 금리가 0.5% 이상 급.. 2023. 8. 4.
YCC란? (Feat. 일본 은행 YCC 정책) 7월 28일 일본 은행(BOJ)이 YCC 정책을 변경하지 않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YCC란 무엇인지와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YCC(Yield Curve Control)란? 일본의 YCC 해제 YCC는 수익률 곡선 통제라는 뜻인데요, 여기서 수익률 곡선은 국채금리를 의미합니다. 채권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기 채권일수록 금리가 올라갑니다. 일반적으로 국채는 단기, 중기, 장기, 초장기가 있는데요, 일본은 단기가 6개월에서 3년, 중기는 3년에서 6년, 장기는 7년에서 15년, 초장기는 15년 이상입니다. 일본은 국채의 수익률을 정해놓기 위해 YCC를 시행했습니다. 국채 수익률이 플러스나 마이너스로 0.5%를 넘으면 일본 은행이 국채를 매입하거나 매도하여 0.5%를 맞춰줍니다. 아래.. 2023. 8. 3.
골디락스(Goldilocks) 경제란? 최근 주변으로부터 주식 시장이 골디락스 존에 있다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골디락스와 골디락스존이 무엇인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골디락스란? 경제용어인 골디락스(Goldilocks)는 금을 의미하는 Gold와 머리카락을 의미하는 Lock의 합성어로 금발 머리를 뜻합니다. 높은 성장 중에 있음에도 물가가 상승하지 않는 이상적인 경제상황을 의미합니다. 골디락스는 영국의 전래동화인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에서 유래되었는데요, 골디락스의 행동이 경제에 응용된 것입니다. 동화의 내용을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주인공인 골디락스가 아빠 곰, 엄마 곰, 아기 곰이 살고 있는 집에 들어가면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식탁 위에 뜨거운 수프, 차가운 수프,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미지근한 수프가 있었습니다. 골디.. 2023. 8. 2.
나스닥 리밸런싱, 빅테크 주가 변동이 올까? 23년 7월 24일 나스닥 100 지수에서 대형 기업들의 비중이 조정되었습니다. 정기적인 이벤트가 아니라는 점에서 시장에서 이슈가 되었는데요, 오늘은 나스닥 리밸런싱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나스닥 100 리밸런싱, 어떻게 비중이 변하는 것일까? 나스닥 100 지수는 나스닥 증권 거래소에서 상장된 우량기업 100곳의 주가를 담은 지수를 뜻합니다. 지수에 편입된 종목들은 주기적으로 정비가 되고, 비중의 변경도 매년 12월에 시행됩니다. 이번에는 12월이 아닌 7월에 특별조정이 일어나서 시장에서 이슈가 되었습니다. 특정한 종목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지수가 왜곡될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스닥에서 특별조정을 한다고 발표했는데요, 대상이 되는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12.9%), 애플(12.5%), 알파벳.. 2023.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