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대에 들어오면서 HOT한 트렌드인 AI(Artificial Intelligence) 시장에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AI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HBM이 무엇인지와 국내의 삼성전자, 하이닉스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BM이란?
HBM(High Bandwidth Memory)는 고대역폭 메모리로 DRAM을 여러 개 수직으로 연결하여 기존 DRAM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인 고성능 메모리입니다. 메모리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창고라고 한다면 대역폭이 창고로 들어가는 도로의 너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HBM은 고대역폭 메모리이므로 도로가 넓게 되어있으므로 창고(메모리)에서 한 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빼낼 수 있습니다.
HBM이 만들어진 이유는 고성능의 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서였습니다. 후에 인공지능에 GPU(Graphics Processing Unit)가 병렬 연산에 좋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HBM도 인공지능 산업에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HBM이 인공지능에 사용되는 중요한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인공지능을 만드는 첫 번째 과정이 학습입니다. 이러한 학습을 하는데 24시간 이상 메모리를 사용해야 하는데요, GPU에 최대한 가까이 메모리를 둬야 학습하는데 데이터를 빨리 가져올 수 있습니다. 고성능의 GPU는 연산 처리 속도가 빠른데요, 그만큼 많은 데이터를 전달해줘야 하므로 HBM이 필요합니다.
두 번째는 인공지능은 추론이 필요한데요, 추론을 하는데 큰 메모리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공개한 ChatGPT도 500GB 이상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GPU에 고용량의 메로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 집적도가 높은 HBM이 사용됩니다.
국내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할 정도로 HBM 분야에서 다른 회사들보다 한 발 앞서 있습니다. SK하이닉스 경우 2021년 4세대 HBM인 HBM3를 개발하였습니다. HBM3에는 DRAM 12개를 적층 하여 용량을 50% 늘렸습니다. 삼성전자 또한 HBM3 개발을 하였으며 점유율을 50% 이상 차지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비쳤습니다.
HBM은 집적도가 높기에 기존 메모리 반도체보다 가격이 6배 이상 높으며 앞으로는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에서 DRAM 매출 중 HBM의 매출 비중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는 삼성전자만 저렴할 때 매수를 했었는데요, 앞으로는 SK하이닉스도 관심 있게 보려 합니다.
2022.10.19 - [경제 및 이슈] -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점유율 1위, 전망 및 리스크 간단하게 알아보기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점유율 1위, 전망 및 리스크 간단하게 알아보기
시장조사기관인 옴디아(Omdia)에서 올해 2분기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발표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자존심이자 코스피 시가총액의 20%를 담당하고 있는 삼성전자가 당당히 D램/낸드플래시 점유율 1
hoon4038.tistory.com
'경제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스닥 리밸런싱, 빅테크 주가 변동이 올까? (0) | 2023.07.30 |
---|---|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2023년 2분기 실적 발표 (0) | 2023.07.28 |
제로콜라가 발암물질? 올바르게 알고 마시자 (0) | 2023.07.21 |
실리콘밸리은행 파산에서 시작된 스타트업 위기 (0) | 2023.03.18 |
확장 중인 TSMC, 앞으로의 전망(Ft. 워런 버핏 지분 매각) (0) | 2023.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