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 및 꿀팁

재무제표의 EV/EBITDA란?

by hoon4038 2022. 10. 1.

 재무제표에는 기업을 평가하기 위한 많은 지표들이 있습니다. 주가가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 파악할 때 참고하는 PER, 기업이 돈을 얼마나 벌어들이고 있는지 확인하는 ROE 등 많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재무제표에 나오는 지표 중에 기업의 가치와 수익가치를 비교하는 EV/EBITDA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EV와 EBITDA

 저는 처음 재무제표에서 EV/EBITA를 보았을 때, 하나의 단어인 줄 알았습니다. 사실 EV와 EBITA는 각각의 뜻을 가진 단어인데요, 먼저 EVEnterprise Value의 약자로 기업 가치를 뜻합니다. 계산하는 방법은 시가총액 + (총차입금 - 현금성 자산)이나 시가총액 + 순차입금으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순차입금이란 현재 가진 현금을 전부 빚을 갚은데 쓴다면 남는 빚을 순차입금이라고 합니다. 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약자로 세금, 이자, 감가상각이 없는 상태에서의 이익을 의미하고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EV/EBITDA는 위에서 구한 EV를 EBITDA로 나누어준 값인데요, 기업의 기업 가치(EV)와 수익가치(EBITDA)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EV/EBITDA가 작다면 기업의 가치(주가)가 시장에서 저평가되어있다고 참고할 수 있습니다. 만약 EV/EBITDA가 10이라면 해당 기업은 10년 동안 기업의 이익은 투자 원금과 같아지게 됩니다. 즉, 기업의 현금흐름에 비하여 기업의 가치가 몇 배 정도인지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EV/EBITDA는 기업 간의 M&A 진행 시에 많은 참고가 됩니다.

 EV/EBITDA 주의점

 사실 EBITDA에는 여러 주의점이 있습니다. 먼저 세금을 고려하지 않고 이익을 구하였는데요, 만약 여러 나라에 뿌리를 내린 다국적 기업이라면 국가별로 세금은 다르기에 실제 이익과 괴리가 생기게 됩니다. 또한 조선업, 건설업과 같은 돈을 받지 않고 일을 하는 미청구공사 업계는 EBITDA로 실제 기업의 현금 창출력을 평가할 수 없습니다.

 

 마치며

 저는 EV/EBITDA를 정리하면서 기업분석 시에 유용이 사용은 못 할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유로는 위의 문제점과 같이 실제 이익과 괴리가 있고 대체할 수 있는 재무제표의 지표들이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해당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은 ROE로 충분히 알 수 있으며 매출액, 영업이익 등 지표들을 참고하면 충분히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앞으로 뉴스나 신문에서 EV/EBITDA가 나왔을 때 내용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2022.09.02 - [재테크 공부방] - #2 재무제표

 

#2 재무제표

 오늘은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저는 투자를 할 때 꼭 재무제표를 보는데요, 재무제표는 쉽게 말하면 기업의 성적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전적 의미로는 기업의

hoon4038.tistory.com

2022.09.03 - [재테크 공부방] - #3 ROE

 

#3 ROE

 지난번에 다루었던 재무제표를 하나씩 뜯어보려 합니다. 오늘은 ROE에 대해 공부하려 합니다. 만약 재무제표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지난번에 올렸던 글을 참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2022.0

hoon4038.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