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첨단기술이 들어간 다양한 전자기기가 주변에 공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기들의 핵심은 반도체인데요, 첨단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는 반도체에 관련된 지수를 오늘 정리해보려 합니다. 미국의 3대 지수(S&P500, 나스닥 지수, 다우 지수)와 함께 중요하게 눈여겨봐야 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입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SOX)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반도체의 설계, 제조, 공급, 판매에 관련된 기업들의 주가를 지수화 시킨 것입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반도체 산업의 현제와 미래를 예측하는데 참고되는 지수로 1993년에 필라델피아 증권거래소에서 탄생한 지수로 200포인트로 시작하여 2021년 말에 3800포인트까지 올라갔었습니다. 2000년대에 들어서 첨단산업에 따라 경제 성장이 되면서 반도체 지수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표적인 경기지표인 미국 ISM 제조업 지수와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장기적으로 볼 때 유사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아래의 반도체 지수를 보시면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수요와 공급에 의한 사이클 때문에 2021년 말까지 상승하다가 현재까지 하락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구성 종목 및 투자법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에 편입 대상은 반도체 설계/제조/판매/장비 등의 기업들로 한정됩니다. 그중 시가총액이 100만 불 이상이면서 발행 주식 수가 150만 주 이상인 30개 기업으로 지수를 산출합니다. 현재는 AMD, ASML, 램리서치, 마이크론, 엔비디아 등이 속해져 있고 매 분기별 리밸런싱을 진행하여 각 종목당 8%가 넘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반도체 지수에 투자하는 방법으로는 반도체 관련 개별 기업들을 사는 방법도 있지만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매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반도체 지수 관련 ETF는 블랙록에서 운용하는 iShares Semiconductor ETF(SOXX)가 있습니다. SOXX는 반도체 지수와 1배로 동일한 경향성으로 움직이는데요, 반도체 지수의 움직임을 3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도 있는데요 바로 SOXL ETF가 있습니다. 반대로 반도체 지수가 10이 오르면 30이 내려가고 10이 내려가면 30이 올라가는 3배 인버스 ETF인 SOXS ETF도 있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미국 3대 지수에 이어 반도체 산업의 흐름을 읽을 때 참고하는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저는 반도체 지수에 투자는 하고 있지만 SOXX ETF가 아닌 3배 레버리지인 SOXL ETF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나름 저점이라고 생각하여 매수하였다가 물린 상태인데요, 당분간은 계속해서 하락할 것이라 생각되어 소량씩만 물을 탈 생각입니다. 반도체는 사이클이 있는 산업으로 기다리다 보면 상승장은 무조건 올 것이라 생각하고 기다려 보려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022.09.24 - [경제 및 재테크] - 미국 3대 주가지수,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미국 3대 주가지수,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한국 주식에 KOSPI, KOSDAQ 지수가 있다면 미국 주식에는 대표적으로 지수 세 가지가 있습니다. 다들 아시듯이 바로 S&P 500 지수, 나스닥 종합지수 그리고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가 있습니다. 주식
hoon4038.tistory.com
2022.09.25 - [경제 및 재테크] - 미국 3대 주가지수, 나스닥 종합주가지수
미국 3대 주가지수, 나스닥 종합주가지수
지난번에 미국의 3대 주가지수 중 잘 나가는 30대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고 역사가 가장 오래된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에 대해 정리하였었습니다. 대표적인 지수이긴 하나 현재는 다른 지수들
hoon4038.tistory.com
'재테크 공부 및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장기 채권 ETF, TLT ETF 전망 및 투자 (0) | 2022.10.11 |
---|---|
LTV, DTI, DSR이란? 쉽고 간단하게 이해하기 (0) | 2022.10.10 |
아무나 낼 수 없는 세금, 종합부동산세 (0) | 2022.10.03 |
재무제표의 EV/EBITDA란? (1) | 2022.10.01 |
시장을 쥐었다 폈다 하는 기준금리와 경제의 관계 (1) | 2022.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