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이슈

미국 3대 주가지수,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by hoon4038 2022. 9. 24.

 

 한국 주식에 KOSPI, KOSDAQ 지수가 있다면 미국 주식에는 대표적으로 지수 세 가지가 있습니다. 다들 아시듯이 바로 S&P 500 지수, 나스닥 종합지수 그리고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가 있습니다. 주식시장이 상승장인지 하락장인지 파악하는 데는 지수만큼 좋은 수단이 없습니다. 주식 투자자라면 꼭 지수 차트를 봐야 하는데요, 개별 차트로는 알 수 없는 것들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3대 주가지수 중 첫 번째로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DJIA)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월스트리트 저널 편집자이며 다우존스 앤 컴퍼니의 공동 창립자인 찰스 다우(Charles Dow)가 만든 주가 지수로서 Dow 30, DJIA, 다우지수라고 부릅니다. 현재의 다우지수는 미국의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30개의 우량기업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다우지수는 기업의 주식분할이나 다른 조정의 효과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주가 수익률의 산술 평균을 구하여 사용합니다. 개별기업의 수익률을 합쳐 전체 기업수로 나누어 수익률 평균을 구하여 지수로 사용합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미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30개 기업을 선정하여 이들의 주가가 과거에 비해 얼마나 바뀌는지를 조사한 지수입니다.

 

다우 존스 산업 지수

 다우 지수의 단점

 다우 지수는 시가 총액을 기반으로 선정하는 S&P 500 지수에 비해서 미국 시장을 대표하지는 못한다는 단점은 있지만 역사가 오래되었기에 증시 흐름을 얘기할 때는 다우지수를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S&P 500, 나스닥 지수에 밀리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S&P 500, 나스닥 지수 추종 ETF에 비해 다우지수 추종 ETF는 인기가 없었는데요,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시가총액 가중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ETF의 구성종목의 비율을 알기 어렵다는 점이 있었습니다. 또한 구성종목이 30 종목밖에 안 되기에 다른 ETF에 비해 리스크가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우 지수에 대한 생각

 저는 미국 주식을 처음 시작할 때 배당금이라는 목표에 치중하였고, 월배당 주는 ETF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러한 ETF들을 찾다 보니 다우 지수 추종 ETF인 DIA ETF를 발견하였고 월마다 1주씩 적립식으로 매수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 후에 S&P 500 지수 추종 ETF인 VOO를 알게 되었고, 수익률을 비교하면서 DIA ETF에 많은 회의감을 느꼈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DIA는 배당률(ETF이기에 배당보다는 분배금이 맞습니다)이 3%대이지만 VOO는 1%대로 낮습니다. 하지만 장기 투자를 했다는 가정하에 수익률은 VOO가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보고 저는 DIA를 매도하고 다른 종목들로 갈아탔습니다. DIA가 안 좋다는 뜻이 아니라 S&P 500 지수 추종 ETF들이 제 눈에는 더 매력적으로 보인다는 것이므로 절대 DIA ETF를 매도하라는 뜻이 아님을 한 번 더 말씀드립니다.

 저는 주식 어플을 켜서 미국 주식을 볼 때 지수를 꼭 먼저 보고 개별 종목을 보는데요, 다우 지수도 물론 미국의 유명하고 실력이 좋으신 분들께서 30개의 종목을 선정하여 지수를 보신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저도 큰 흐름으로 볼때는 다우지수를 꼭 한 번씩 훑어보고 또한 다우 지수 상승이 크거나 다우 지수에서 방출되거나 편입되는 종목들이 생기면 개별종목을 유심히 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다우 지수에 대해 정리하였는데요, 다음에는 S&P 500, 나스닥 지수에 대해서도 정리해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