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2개의 포스팅으로 소개해드린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그리고 나스닥 지수에 이어서 오늘은 마지막으로 S&P 500 지수에 대하여 정리하려 합니다. 사실 두 가지 지수들은 30개 기업이나 IT 및 벤처기업을 토대로 지수를 산출하기에 미국 시장 전체를 반영하기 어려운데요, 오늘 정리할 S&P 500 지수는 미국 시장을 다른 지수에 비해 더 정확히 반영합니다.
S&P 500이란?
S&P 500은 미국의 신용평가회사 Standard & Poors에서 개발한 주가지수로 실질적인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지수입니다. 미국의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을 묶어서 지수로 뽑는데요, 나스닥처럼 IT기업이나 벤처기업만 반영하거나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처럼 소량의 기업만 반영하는 것이 아니기에 포괄적으로 미국 시장을 반영합니다. 실제로 미국 상장기업들의 시가총액의 합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뉴욕 증권거래소 종목 중에 대형주만 포함하였으나 나스닥 증권거래소가 생긴 후에는 애플, 구글 등 나스닥 대형주들도 포함되었습니다.

S&P 500 주의점
미국 증시를 포괄적으로 반영하는 S&P 500에도 단점이 있습니다. 500개 기업 중에 대형주의 영향이 큰 것은 사실입니다. 또한 이전에 나스닥 지수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듯이 상승장에서 성장주 위주인 나스닥 지수에 비해 상승률이 적은 것도 단점입니다. 만약 투자 성격이 수비적인 것보다 공격적인 투자를 선호한다면 S&P 500보다는 나스닥 지수에 투자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무리
S&P 500 지수는 시장에서 안전하기로 유명한데요, 워런 버핏이 아내에게 자신이 죽은 뒤에 유산으로 미국 국채에 10%를 투자하고 나머지 90%는 전부 S&P 500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라고 할 정도입니다. 또한 S&P500 ETF에 투자해두고 일하면서 그 임금을 S&P500 ETF에 재투자하면 어렵지 않게 부자가 될 수 있다고 할 정도로 버핏의 S&P 500 사랑은 남다릅니다. 저도 미국 증시 3대 지수 중 한 가지를 추종하는 ETF를 사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는데요, 후보로는 S&P 500 추종 ETF와 나스닥 지수 추종 ETF였습니다. 둘 중에 결국 S&P 500 ETF를 선택하여 현재는 VOO ETF를 기회가 될 때마다 매수하고 있습니다.
2022.09.24 - [재테크 공부방] - #12 떨어져도 웃으면서 매수하는 KINDEX 미국나스닥100
#12 떨어져도 웃으면서 매수하는 KINDEX 미국나스닥100
연말에 세액공제 혜택 및 노후준비를 위해 연금저축을 하고 있는데요, 매월 월급날 매수하는 연금저축펀드 중에 차트를 보지도 않고 매수하는 종목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지난번에 정리했었
hoon4038.tistory.com
'경제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난 환율을 진정시킬 수 있는 통화 스와프 (1) | 2022.09.27 |
---|---|
세계의 금리를 움직이는 곳, 연방준비제도 (1) | 2022.09.26 |
미국 3대 주가지수, 나스닥 종합주가지수 (0) | 2022.09.25 |
미국 3대 주가지수,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1) | 2022.09.24 |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버블 경제 (1) | 2022.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