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 및 꿀팁

#2 재무제표

by hoon4038 2022. 9. 2.

 

 오늘은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저는 투자를 할 때 꼭 재무제표를 보는데요, 재무제표는 쉽게 말하면 기업의 성적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전적 의미로는 기업의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를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분기/연간으로 볼 수 있고 해당 기업이 얼마나 운용을 잘하고 돈을 많이 벌었는지를 한 번에 알 수가 있습니다. 재무제표는 회사가 자신들의 성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사용할 때도 있지만, 주식시장에 상장된 회사는 의무적으로 재무제표를 매년 사람들에게 공개를 해야만 합니다.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주식회사의 등장은 자본시장을 크게 만들고 투자자들의 재산을 불리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여기서 기업은 투자자들 및 금융기관, 공공기관, 기업의 직원, 소비자와 같은 이해관계자들에게 애해조정책임 및 여러 사회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의 재무상태 및 기업의 성과를 공유해 주어야 하는데요, 이것이 재무제표입니다.

 

 재무제표의 종류에는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포괄손익계산서가 있습니다.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되며,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포괄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을 기준으로 작성되게 됩니다. 여기서 포괄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 현금흐름표는 현금주의에 맞춰 작성됩니다. 만약 여러개의 기업이 법적으로는 연관이 없는 관계이지만 서로 지배/종속의 관계로 얽힌 경제적으로 하나의 실체라면, 지배기업에서 종속기업의 수익, 자본, 부채, 자산 등을 포함한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해야합니다. 지배기업에서 종속기업의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하는 것은 저도 공부하면서 처음 알게 된 사실인데요, 실제로 저는 이전에 삼성디스플레이라는 회사를 다니고 있었습니다. 애사심을 기반으로 주식을 사볼까라는 생각을 하기도 하였는데요, 주식창에 삼성디스플레이라는 종목은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삼성디스플레이와 실체는 다르지만 지배/종속의 관계에 있는 삼성전자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영업이익, 비용 등을 포함한 재무제표를 발표하는 것을 보고 아이러니하였지만 오늘 공부하면서 왜 그렇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이제 다시 재무제표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재무제표에는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포괄손익계산서 이렇게 네 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여기서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의 기업의 재무상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재무제표이며, 현금흐름표는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현금의 흐름을 투자, 영업, 재무활동으로 나누어 표시한 재무제표입니다. 저는 주식을 투자할 때 현금흐름표를 가장 많이 보는데요, 이유는 결국 회사의 목표는 돈을 잘 벌고 미래에도 성장하는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현금흐름표를 보면 회사가 현재 얼마나 잘 벌고 앞으로를 위해 투자하는지 볼 수 있습니다. 현금흐름표는 다음 포스팅에서 추가로 다뤄보겠습니다. 자본변동표는 기업이 잉여금이 어떻게 변동되는지 알려주는 재무제표입니다. 마지막으로 포괄손익계산서는 1년간 기업이 수익이 얼마나 되고 얼마를 투자하여 어느 정도의 이익을 얻었는지 알려주는 재무제표입니다.

 

 재무제표의 종류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재무제표는 주식 매수 시에 꼭 고려해야 할 사항이며 중요한 자료라고 생각됩니다. 기업에서는 솔직하게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하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은 기업들이 몇몇 개 있습니다. 이렇게 재무제표 등을 조작하는 행위분식회계라고 하는데요, 2년 전에 루이싱 커피라는 회사에서 분식회계를 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고 결국 미국 주식시장에서 방출된 사례가 있습니다. 이렇게 기업에서 거짓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을 감시하는 것이 회계감사입니다. 회계감사란 회계기록을 해당 기업과 독립적인 제삼자가 분석 및 검토해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이것으로 모든 문제를 잡아낼 수는 없지만 부정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 재무제표에 나오는 여러 가지 지표들(ROE, PER, PBR 등)을 차례대로 다뤄볼 생각입니다. 투자의 근거를 재무제표로만 잡는 것도 문제가 있지만 필수적으로 투자하기 전에 재무제표를 봐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재테크 공부 및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투자의 지표, VIX 지수  (0) 2022.09.12
#6 배당금  (1) 2022.09.09
#5 미국 주식을 하는 이유  (1) 2022.09.05
#4 PER (주가수익비율)  (0) 2022.09.04
#3 ROE  (1) 2022.09.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