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번에 재무제표에서 회사가 돈을 활용하여 분기 또는 1년 동안 얼마를 벌어들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인 ROE(자기 자본 이익률)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ROE에 대해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이번 시간에는 제가 투자할 때 ROE/EPS와 함께 투자할 때 가장 참고하는 PER(Price-to-Earnings Ratio)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2022.09.03 - [재테크 공부방] - #3 ROE
#3 ROE
지난번에 다루었던 재무제표를 하나씩 뜯어보려 합니다. 오늘은 ROE에 대해 공부하려 합니다. 만약 재무제표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지난번에 올렸던 글을 참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2022.0
hoon4038.tistory.com
PER(Price-to-Earnings Ratio)은 주가와 주당순이익을 비교하는 시장가치 비율입니다. PER을 구하는 것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로 나누거나 시가총액을 당기순이익을 나눠서 구할 수 있습니다. 즉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그러므로 PER가 낮다는 것은 해당 회사가 벌어들인 돈에 비하여 주가가 낮다는 것이고, 그에 따라 기업의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PER가 높다는 것은 벌어들인 돈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PER를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PER = 시가총액 / 순이익
지난번 ROE 포스팅의 예를 살펴보자면 제가 차린 치킨집이 연매출 3억 원을 내고 있고, 비용을 뺀 3천만 원이 순이익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여기서 이 치킨집의 보증금이 2억이고 권리금이 1억이라면 제 치킨집의 가치(시가총액)는 3억 원이 됩니다. 그렇다면 제 치킨집은 PER가 10배가 됩니다.
저는 실제로 투자 시에 PER을 해당 기업이 고평가가 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회사의 미래 성장률, 재무위험의 차이, 기업의 이익 발생 능력, 회계처리방법의 차이에 따라서 같은 업종의 기업이라 하더라도 PER의 차이가 납니다. 따라서 PER 또한 ROE와 같이 투자하는데 참고하는 지표로만 사용하고 맹목 하는 오류를 범하면 안 됩니다. 실제로 애플(AAPL)은 PER가 26, 구글(GOOGL)도 26 정도 PER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은 전체적으로 높은 시총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한국 주식(KOSPI)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높은 PER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KOSPI에 상장된 회사들은 평균 PER는 20이 안되지만 미국 시장에 상장된 회사들의 PER는 20을 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투자 시 유의해야 할 점으로는 저 PER 주식이라고 저평가되어있을 것이라 생각해 무조건 사면 절대 안 된다는 것입니다. 저평가되어있을 수도 있지만 실제로 기업에 문제가 있다거나 업종의 전망이 안 좋아서 PER이 낮을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고 존경하는 워런 버핏은 고 PER 주는 높은 기대감이 반영되어 있어 실제로 매출이 급감하게 된다면 급락을 할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전에도 말씀드렸듯이, 저는 보수적인 투자자로 최대한 RISK를 줄이는 방법으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테슬라(TSLA)의 경우를 한 번 예로 들어보자면, 테슬라는 누가 봐도 전기차 시장의 선두주자이고 앞으로도 1위를 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습니다, PER 또한 작년에는 1,107배까지 올라갔었습니다. 현재도 215배로 아주 높은 PER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테슬라가 유망하고 성장할 회사라는 것은 알지만 PER가 너무 비정상 적으로 높아 투자는 하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도 주가 변동이 심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PER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매일 주식창과 재무제표를 보면 PER을 느끼고 있었는데요, 이렇게 공부하면서 PER을 다시 한번 보니 색다른 느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다들 현명한 투자 하시길 기도드리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재테크 공부 및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투자의 지표, VIX 지수 (0) | 2022.09.12 |
---|---|
#6 배당금 (1) | 2022.09.09 |
#5 미국 주식을 하는 이유 (1) | 2022.09.05 |
#3 ROE (1) | 2022.09.03 |
#2 재무제표 (0) | 2022.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