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주식 시장이 조정을 받으면서 호황기가 끝났다고 생각이 들었는데요, 오늘은 경기 침체를 예측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실러 지수(Shiller Index)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러 지수(Shiller Index)란?
실러지수는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로버트 실러(Robert Shiller)가 고안한 경제 지표입니다. 전체 주식 시장의 가치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상대적인 저평가 또는 고평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가격을 이익으로 나눈 비율(P/E)입니다.
위의 실러 지수(Shiller PE)를 CAPE(Cyclically Adjusted Price-Earnings) 지수라고도 하는데요, 요약하자면 S&P500 지수의 가격을 10년간의 인플레이션이 조정된 평균 수익으로 나눠서 계산합니다. 10년 간의 평균 이익으로 주가를 나눔으로써 주가의 변동성을 줄이고 경기 사이클에 의한 영향을 줄입니다.
실러 지수 의미로는 주식 시장의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이 가능합니다. 실러지수가 높다는 것은 주식 시장이 고평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낮다면 저평가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식 시장의 장기 수익률을 예측하는데 유용합니다.
실러 지수를 보는 법은 간단한데요, 구글에 'Shiller PE'라고 검색하면 실러 지수를 볼 수 있는 많은 사이트들이 있습니다. 저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는데요, 보시면 2000년 닷컴버블 다음으로 현재가 과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실러 지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현재 중소형주 위주 투자를 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를 최대한 줄여 수익은 실현하고 배당주 및 단기 채권 ETF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침체를 대비해 현금을 모아두는 것은 어떠실까요?
2025.01.04 - [경제 및 이슈] - 배당 많이 주는 BDC란?(Ft. 고배당주, OBDC)
배당 많이 주는 BDC란?(Ft. 고배당주, OBDC)
현재 S&P가 과열됐다는 이야기들이 주변에 들리며 저는 미국 고배당주에 관심이 생겼는데요, 오늘은 배당을 많이 주는 BDC에 대해 알아보고 제가 투자 중인 OBDC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드리겠습니
hoon4038.tistory.com
'재테크 공부 및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Total Return) ETF란? (1) | 2024.12.29 |
---|---|
커버드콜 뜻과 리스크 (0) | 2024.12.28 |
하이일드 스프레드란? (Ft. 경기침체 예측) (2) | 2024.11.16 |
PPI(생산자물가지수)란? (0) | 2024.04.12 |
그랜빌의 8법칙이란?(Ft.주식 매매 참고사항) (0) | 2024.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