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수) CPI(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면서 미국의 금리인하가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증시가 하락하였습니다. 다음날 PPI가 발표 되면서 하락했던 증시가 소폭 회복하였습니다. 오늘은 PPI가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PPI(생산자물가지수)란?
PPI는 Producer Price Index의 약자로 생산자물가지수를 의미합니다. 제조업자가 판매한 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고 기업간의 대량거래에서 형성되는 모든 상품의 가격변동을 측정합니다.
PPI는 생산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데요, 생산자들에게 중요한 노동비, 운송비, 원자재 가격 등의 변동을 포함하고 있어 물가 변동을 분석하는 데 사용합니다.
PPI 지수는 일정 기간의 가격을 100으로 상정한 후 상대적인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데요, PPI가 105라면 생산 물가가 기존 대비 5% 올랐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PI를 결정하는 요소로는 에너지 가격, 노동 비용, 원자재 가격, 운송비, 환율, 수요공급 등이 있습니다. 다른 것들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환율과 수요공급에 관해서만 설명드리겠습니다.
환율의 경우 현재 우리나라와 같이 통화 가치가 하락하게 되면 수입품 가격이 올라가고 생산자들의 비용 상승을 일으키게 됩니다. 수요공급 경우 수요가 높아지게 되면 생산품 가격이 올라가 PPI 상승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PPI가 높아지면 생산자들이 부담하는 비용이 커지기 때문에 이것은 다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제품의 가격을 올리게 됩니다. 이것은 다시 CPI의 상승을 일으켜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2022.12.11 - [경제 및 이슈] - 소비자물가지수(CPI)란? 인플레이션과 연관성 쉽게 알아보기
소비자물가지수(CPI)란? 인플레이션과 연관성 쉽게 알아보기
내일(13일) 미국의 1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면 앞으로의 금리 방향을 예측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오늘은 인플레이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무엇인지에 대해서와 CPI
hoon4038.tistory.com
반대로 PPI가 낮다는 것은 생산자들이 부담하는 가격이 줄게 되어 제품 가격의 상승 정도가 낮을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낮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닌데요, PPI가 낮다는 것은 경기 둔화를 의미하게되어 적당한 PPI 지수가 중요합니다.
인플레이션에 직접적인 관련된 지표가 CPI(소비자물가지수)인데요, PPI는 CPI의 선행지표라고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미래의 CPI가 어떻게 나올지 예측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재테크 공부 및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버드콜 뜻과 리스크 (0) | 2024.12.28 |
---|---|
하이일드 스프레드란? (Ft. 경기침체 예측) (2) | 2024.11.16 |
그랜빌의 8법칙이란?(Ft.주식 매매 참고사항) (0) | 2024.04.10 |
항공권 싸게 사는 법 (0) | 2024.04.07 |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뜻 (0) | 2024.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