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 및 꿀팁

미국 배당주 종류 쉽게 알아보기(배당 킹, 배당 귀족, 배당 챔피언, 배당 블루칩)

by hoon4038 2022. 10. 27.

 

 

 많은 분들이 미국 주식을 하는 이유로 꾸준한 우상향 하는 미국 시장과 함께 높은 배당성향을 꼽는데요, 배당주라고 아무런 배당주를 투자하면 안 되는 것을 아시나요? 당장에는 배당을 많이 주지만 추후 배당 컷(배당금을 삭감하는 것)을 할 수도 있기에 투자할 주식을 잘 선정해야 합니다. 오랜 기간 배당금을 상승시킨 기업이라면 더욱 신뢰를 얻을 수 있을 텐데요, 오늘은 배당금을 꾸준하게 상승시킨 배당 킹, 배당 귀족, 배당 챔피언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꾸준한 배당 상승을 해야 얻을 수 있는 타이틀

 배당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인데요, 많은 하락장에서도 꾸준히 배당을 상승시키면 아래의 타이틀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배당 킹(Dividend King) : 50년 이상 꾸준히 배당을 상승시킨 기업으로 많은 하락장을 극복한 기업들만 들어갈 수 있습니다. 1970년대 오일쇼크, 2000년대 닷컴 버블과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등의 극심한 하락장에서도 꾸준히 배당 상승한 기업들입니다. 대표적으로는 워런 버핏이 좋아하는 코카콜라(KO), 대표 제약회사 존슨 앤 존슨(JNJ), 우리 주변에서 많이 보실 수 있는 3M(MMM) 등이 있습니다.

 

-. 배당 귀족(Dividend Aristocrats) : 배당 킹 종목을 제외하고 25년 이상 배당을 상승시킨 기업으로 배당 킹 못지않게 많은 하락장에서도 배당을 상승시킨 기업들입니다. 배당 귀족주로는 사람들이 많이 먹는 맥도널드(MCD), 코카콜라의 라이벌인 펩시(PEP) 그리고 제가 좋아하고 월배당주로 유명한 리츠 기업인 리얼티 인컴(O) 등이 있습니다.

-. 배당 챔피언(Dividend Champions) : 배당 킹, 배당 귀족주를 제외하고 10년 이상 배당을 상승시킨 기업으로 배당 킹, 배당 귀족주보다는 배당 성장의 역사가 깊지는 않지만 배당 성장률은 높은 주식들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 시가총액 2위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SFT), 미국의 대표 마트인 코스트코(COST), 미국 대표 통신주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VZ) 등이 있습니다.

 

-. 배당 블루칩(Dividend Bluechip) : 위의 세 가지 종류를 제외하고 5년 이상 배당 성장한 기업들로 닷컴 버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같은 큼지막한 하락장을 겪지는 못했지만 성장성은 위의 세 가지보다 높은 주식들이 많습니다. 배당 블루칩으로는 우리 모두가 사랑하는 애플(AAPL)이 있습니다.

 

 위의 네 가지 종류의 배당주들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데요, 위에서 아래로 올수록 배당 상승의 역사가 짧고 큰 폭락장에서 배당 컷이 발생할 리스크가 높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배당 성장률 및 주식 성장성은 아래로 올수록 높아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저와 같은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월마다 꾸준한 배당이 들어오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실 텐데요, 이러한 성향의 투자자라면 배당 킹과 배당 귀족주를 조합하여 월 배당 흐름을 만드신다면 걱정 없이 매월 배당금을 받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저 또한 월마다 들어오는 배당 흐름을 위해 배당 킹과 배당 귀족주를 활용하여 포트폴리오를 만들었습니다. 이 포트폴리오에 대해서는 추후 포스팅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2022.09.09 - [재테크 공부방] - #6 배당금

 

#6 배당금

 이전 시간에 미국 주식을 하는 세 번째 이유로 배당금을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배당금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배당금은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금 일부를 주주에

hoon4038.tistory.com

 

 

2022.09.29 - [재테크 공부방] - 현금 흐름의 기둥, 월배당 주는 리얼티 인컴

 

현금 흐름의 기둥, 월배당 주는 리얼티 인컴

 경제적 자유라는 것은 개인마다 정의가 다를 수도 있지만 저는 경제적 자유를 돈 걱정 없이 제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으로 정의 내렸습니다. 그것을 위해 주식 투자를 하고 있고 회사에서

hoon4038.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