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 및 꿀팁

어닝 쇼크, 어닝 서프라이즈, 어닝 미스 뜻 쉽게 이해하기

by hoon4038 2022. 10. 23.

 

 

 분기별로 기업들은 실적을 발표하는데요, 실적 발표 시즌 때마다 뉴스나 신문에 어닝 쇼크, 어닝 서프라이즈와 같은 단어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저도 많은 기업들의 주주로서 실적 발표 시즌마다 긴장을 하면서 뉴스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런 단어들을 통해서 다음 날의 주가 및 추후 전망을 예상해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런 실적 발표 시즌에 알아두면 유용한 용어들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어닝 시즌(Earning Season)이란?

 들어가기에 앞서 어닝이란 뜻이 무엇인지 간단히 살펴보자면, Earning이라는 단어로 기업의 실적을 의미합니다. 다시 어닝 시즌으로 돌아가면 주식 시장에 상장된 모든 기업들은 1년에 4번 의무적으로 기업의 경영실적을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에 의무적으로 공개를 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이러한 경영실적 발표를 비슷한 시기에 발표하는데요, 이 시기를 어닝 시즌이라고 합니다. 기업의 실적 발표는 의무적으로 분기가 끝난 후 45일 이내로 발표를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1분기의 실적 발표는 4월~5월 중순, 2분기는 7월~8월 중순, 3분기는 10월~11월 중순 그리고 4분기는 1월~2월 중순에 주로 발표를 합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실적에 관심을 갖기 때문에 어닝 시즌만 되면 주의 깊게 뉴스를 봅니다. 이제 어닝 쇼크와 어닝 서프라이즈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어닝 쇼크(Earning Shock) / 어닝 미스(Earning Miss)란?

 어닝 쇼크기업의 영업 실적(Earning)이 시장의 예상치보다 낮아 충격적(Shock)이라는 뜻입니다. 대부분 어닝 쇼크가 발표되면 당일의 주가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요, 기업의 성장성에 의문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사례로 이번 연도 3분기 삼성전자의 실적을 발표하였는데요, 영업이익이 10조를 넘었으나 어닝 쇼크가 되며 주가가 하락하고 향후 주가 전망치도 하향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어닝 쇼크보다는 낮지 않지만 예상치와 차이가 있을 경우 어닝 미스(Earning Miss)라고 합니다. 테슬라의 이번 연도 3분기 실적이 어닝 미스였는데요, 시장의 기대치는 219억 달러지만 실제 실적은 214억 달러를 달성하였습니다. 하지만 어닝 쇼크를 보인 삼성 전자보다 주가는 더욱 큰 폭으로 떨어졌는데요, 이것으로 알 수 있는 것은 주가의 방향성은 알 수 있지만 폭은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테슬라의 경우 미래에 대한 기대가 많이 반영되어 있었기에 실적에 따른 충격이 더 컸고, 삼성전자는 반도체 사이클 상 불황기이기에 대략적인 어닝 쇼크를 예측할 수 있어서 하락폭이 크진 않았습니다.

 

 어닝 서프라이즈(Earning Surprise)란?

 어닝 서프라이즈는 어닝 쇼크의 반대말로 기업의 영업 실적이 시장의 예상치보다 높아 놀랍다(Surprise)는 뜻입니다. 부정적인 쇼크와는 달리 긍정적인 서프라이즈라는 단어를 사용하는데요, 기업이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다면 주가가 상승하고 추후 성장성도 수치로 인정을 받는 것이기에 향후 주가 성장성도 올라가게 됩니다. 최근에 어닝 서프라이즈의 사례로는 지난번에 구독자수가 감소하면 주가가 급락했던 넷플릭스(NFLX)가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다시 구독자 수가 오르면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였고 주가도 13%가량 폭등을 하였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실적 발표 시즌에 알아두면 유용한 용어들에 대해 정리해보았는데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면 기업의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재무제표나 PER 지수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도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2.09.02 - [재테크 공부방] - #2 재무제표

 

#2 재무제표

 오늘은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저는 투자를 할 때 꼭 재무제표를 보는데요, 재무제표는 쉽게 말하면 기업의 성적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전적 의미로는 기업의

hoon4038.tistory.com

 

2022.09.04 - [재테크 공부방] - #4 PER (주가수익비율)

 

#4 PER (주가수익비율)

 지난번에 재무제표에서  회사가 돈을 활용하여 분기 또는 1년 동안 얼마를 벌어들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인 ROE(자기 자본 이익률)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ROE에 대해 알아보고

hoon4038.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