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재무제표를 통하여 기업의 과거와 현재를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합니다. 투자에 있어서 꼭 기업의 재무제표는 보고 투자를 결정하여야 합니다. 이전에 ROE, PER 등 중요한 지표들에 대해 정리를 했었는데요, 오늘은 투자에 조금 더 도움이 되시도록 추가로 참고할 만한 지표인 BPS와 PBR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BPS(Book-value Per Share)이란?
PBR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BPS를 먼저 이해해야 하는데요, BPS는 주당순자산가치라는 뜻으로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한 주식수로 나눠서 구합니다.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서 순자산을 구하고 그것을 발행한 주식 수로 나눠주는 것인데요, 만약 기업의 총자산이 3억 원이고 부채가 1억 원에 총 발행 주식수가 1만 주라고 한다면, BPS는 2억 원을 1만 주로 나눠준 2만 원이 되게 됩니다. BPS가 높다면 기업의 자기 자본 비율이 크고 이것은 기업의 가치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BPS는 청산가치라고도 하는데요, 만약 당장 기업이 활동을 멈추게 된다면 주주들에게 얼마씩 돌아가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BPS는 단순 지금의 자산 기준으로 구하기에 기업의 가치를 포함한 지표는 아닙니다. 단지 현재의 가치이므로 현금 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만약 BPS가 크지만 현금 흐름이 없는 적자기업이라면 주가가 낮을 것이며 BPS는 작지만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을 것입니다.
BPS(주당순자산가치) = 순자산 / 발행주식수
PBR(Price to Book-value Ratio)이란?
위의 BPS로는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수 없는데요, PBR을 같이 활용하신다면 기업의 가치를 파악하는데 조금 더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PBR은 주가순자산비율이라는 뜻으로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인 BPS로 나눈 것입니다. 즉,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거래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PBR이 1보다 작다면 가치보다 주가가 저평가가 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이전에 포스팅했던 PER(주가 수익비율)과 함께 비슷하면서 서로 보완하는 지표입니다. PER은 현금 흐름을 볼 수 있는 지표인데요, PBR은 주식 수량 측면에서 기업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즉, PER은 기업의 수익에 대해 시장이 평가한 가치를 대변하고 PBR은 기업의 순자산가치에 대해 시장에서의 가치를 엿볼 수 있습니다.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
PER = 시가총액 / 순자산
대부분의 가치주들은 저 PBR을 보여주는데요, 일반적으로 저 PBR 주식들은 고 PBR 주식들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였습니다. 하지만 PBR 낮다고 저평가되었다는 맹목적인 생각으로 매매를 하신다면 큰 낭패를 보실 수도 있는데요, 이유는 PBR은 부채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PER, ROE 등 다양한 지표들과 함께 참고하는 지표로 사용하여야 합니다.
'재테크 공부 및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I 지수란? (구매자 관리지수, NAPM 지수, ISM 지수) (0) | 2022.11.08 |
---|---|
대표 반도체 장비 업체, ASML 주식 전망 (0) | 2022.11.06 |
미국 배당주 종류 쉽게 알아보기(배당 킹, 배당 귀족, 배당 챔피언, 배당 블루칩) (0) | 2022.10.27 |
모르면 손해 보는 미국 주식 세금과 절세 방법 (0) | 2022.10.26 |
장단기 금리차란? 장단기 금리차 역전의 의미는? (0) | 2022.10.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