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나 신문에서 우리는 현재 인플레이션의 시대에 살아가고 있다는 말들이 많이 나옵니다. 우리는 인플레이션 이후에는 디플레이션이 올 것이고 언젠가 스태그플레이션도 겪게 될 것입니다. 오늘은 디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의 의미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디플레이션 의미와 대처법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반대로 물가가 끊임없이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디플레이션의 원인으로는 통화량의 감소나 제품의 과대 생산 및 부동산 가격의 하락이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이 진행된다면 부동산과 주식 같은 실물 자산보다는 돈의 가치가 높아지므로 사람들은 돈으로 보유하려 할 것입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였을 때 과정은 물가가 하락하면서 기업의 수입이 줄어들고 거기에 따라 실업자가 늘어나게 됩니다. 그에 따라 소비가 줄어들고 또다시 물가가 하락하는 악순환을 반복합니다. 대표적인 디플레이션의 예로는 지난번에 포스팅하였던 1930년대 주가 폭락과 함께 전 세계에 닥친 경제 대공황과 1990년대 부동산 폭락과 함께 시작된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이 있습니다. 두 상황처럼 자산가치의 폭락과 함께 시작됩니다.
사실 디플레이션은 대처보다는 대비가 중요합니다. 자산의 현금화를 통하여 최대한 손실을 줄이고 잠시 동안 주식 어플을 떠나 일(노동)을 통한 원화 채굴에 힘을 줘야 합니다. 이렇게 현금을 모아 예적금을 하면서 다음 기회에 투자할 시드머니를 만들어야 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의미와 대처법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침체라는 뜻의 Stagnation과 물가가 끊임없이 상승하는 Inflation의 합성어로 경기는 침체되지만 물가는 끊임없이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물가도 계속해서 오르는 인플레이션의 단점과 경기가 침체하면서 실업률도 상승하는 디플레이션의 단점이 합쳐진 상황입니다. 모든 직장인들이 말하는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것이 바로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입니다. 대표적으로 1930년대 유가 급등과 함께 찾아온 오일쇼크 사태가 있었고, 최근에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서 원유 가격이 상승하면서 찾아온 상황이 나오고 있습니다. 원유 공급이 감소하면서 제조비용이 높아지고 그 결과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그에 따라 사람들의 소비는 줄어들고 기업의 매출이 내려가 실업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결국 월급 빼도 다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나타나게 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대처법은 주식시장에서 잠시 멀어지는 것입니다. 디플레이션과 같이 기업의 실적이 저조해지는 경기침체가 동반되기에 주식 가격은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원자재 가격이 오른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금이나 원자재 같은 것에 투자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됩니다.
마치며
저는 사실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정의는 정립되어있으나, 실제로 어떻게 투자해야 할지는 모르는 상태였습니다. 오늘 정리하면서 각 상황이 닥쳤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라 생각합니다. 사실 저는 적립식 및 배당 투자자이므로 어떤 상황에서도 제가 사야 할 종목들을 월마다 적립식으로 사는 것은 변함이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추가 투자금을 상황에 맞춰 잘 운용하여 현명한 투자를 해보려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09.13 - [재테크 공부방] - #8 인플레이션
#8 인플레이션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제를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하고 겪을 수밖에 없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이거나 화폐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hoon4038.tistory.com
'경제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책임을 담아 경영을 하는 ESG 경영이란? (0) | 2022.10.13 |
---|---|
M&A란 무엇인가? 효과는 무엇이 있을까? (0) | 2022.10.12 |
전 세계의 유가를 좌지우지하는 OPEC (1) | 2022.10.08 |
미국의 회심의 한 수,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국내에 미치는 영향 (0) | 2022.10.07 |
줄어드는 출산율, 늘어나는 1인가구 (2) | 2022.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