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한국은행이 7월 이후 3개월 만에 빅스텝('기준금리 0.50%p 인상')을 밟으면서 서민들의 한숨이 깊어졌습니다. 2012년 이후 처음으로 3.0%대의 기준금리가 되었고 5회 연속 기준금리 상승도 역사상 최초일 정도로 인상 속도가 빠릅니다. 오늘은 이렇게 빠른 금리인상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끊임없는 금리인상은 언제까지?
근본적인 금리인상의 원인은 물가상승률입니다. 10월의 한국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도 10월 대비 5.6% 오르며 5%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8월 6.3%로 정점을 찍고 9, 10월 두 달 연속 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5%대로 높은 수준입니다. 오늘 한국은행은 국내 경기가 둔화되고 있지만, 물가가 목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어 금리인상을 이어나갈 것이라 하였고 최종 금리 3.5%까지 금리인상은 계속될 것이라고 추가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미국의 금리인상이 계속되는 한 우리나라도 금리인상을 계속하게 될 것입니다. 만약 미국보다 한국의 금리가 낮다면 외국 투자자 및 외국기관들은 한국의 원화 대비 달러의 가치가 높아 국내 시장에 투자한 돈을 다시 뺄 것입니다.

금리 인상 시기에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보통 금리가 인상되면 높은 금리의 예적금을 통해 다음 기회(금리 인하기 또는 저금리 시기)에 사용할 목돈마련을 합니다. 저 또한 이제까지 적금을 한 번도 안 들었었지만 이번에 처음으로 적금에 가입했습니다. 아마 다음 달에 더 좋은 금리의 상품이 나오면 추가로 가입할 것입니다. 하지만 주식투자도 멈출 수가 없기에 주식 공부 및 투자도 같이하는데요, 보통은 은행주가 금리 인상기에 수익을 보게 됩니다. 이유는 금리가 올라감으로써 예대마진(금융 회사의 대출 이자 수익에서 소비자에게 지급한 예금 이자를 뺀 것)이 높아지기에 수익성이 좋아져 수혜를 봅니다. 그렇기에 저도 미국의 J.P 모건 체이스라는 은행에 투자 중입니다. 또한 다른 투자로는 배당주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제가 배당주를 좋아하기도 하지만 지금과 같은 시기에 더 배력적이라 생각됩니다. 미국 기업들은 보통 배당을 분기에 한 번씩 주는데요, 종목들을 잘 배합하면 매달 배당을 받을 수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위에 말씀드린 J.P 모건 체이스도 배당률이 4%에 달하는데요, 주가가 현재 고점 대비 42% 하락된 상태로 주가 회복과 배당금 두 개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마치며
저는 금리 인상기에 투자 방법으로 예적금, 은행주, 배당주 이렇게 세 가지를 투자하고 있는데요, 이 중에서도 저는 보수적인 투자자라 배당주에 조금 더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예적금도 물론 넣고 있지만 배당주에 투자하면서 시세차익과 배당금 두 가지를 노리고 있습니다. 특히 저는 포트폴리오가 미국 주식 위주이므로 배당금을 달러로 받는데요, 이것은 현재와 같은 고환율 시기에 환방어 역할까지 해줍니다.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저의 포트폴리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다들 성공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2022.09.30 - [재테크 공부방] - 시장을 쥐었다 폈다 하는 기준금리와 경제의 관계
시장을 쥐었다 폈다 하는 기준금리와 경제의 관계
최근에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최근 3번의 FOMC에서 연속으로 0.75%p씩 인상하며 미국 금리는 3.25%p를 찍었습니다. 다음 FOMC에서도 금리는 인상할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는데
hoon4038.tistory.com
2022.09.09 - [재테크 공부방] - #6 배당금
#6 배당금
이전 시간에 미국 주식을 하는 세 번째 이유로 배당금을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배당금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배당금은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금 일부를 주주에
hoon4038.tistory.com
'경제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이란? 경제학 쉽게 이해하기 (0) | 2022.10.20 |
---|---|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점유율 1위, 전망 및 리스크 간단하게 알아보기 (0) | 2022.10.19 |
투자와 투기의 차이 쉽게 이해하기 (LH 부동산 투기 사태) (0) | 2022.10.15 |
코스피, 코스닥이란? 상장 조건, 차이점 쉽게 이해하기 (0) | 2022.10.14 |
사회적 책임을 담아 경영을 하는 ESG 경영이란? (0) | 2022.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