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이슈100

G2 중국의 야망, 일대일로 안녕하세요, 올해 들어 스리랑카가 국가 부도를 선언하였습니다. 세계경제가 안 좋아진 이유도 원인일 수 있지만 그것 때문만은 아닙니다. 오늘 정리한 중국의 일대일로의 영향도 있습니다. 세계 경제 2위인 중국은 중국몽을 이루고 1위인 미국을 넘기 위해 많은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 잘 알려져 있는 일대일로 정책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일대일로(一带一路) 일대일로는 시진핑 주석이 2014년 중국에서 개최한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 정상 회의에서 말한 경제 구상입니다. 목표는 기존에 의존하던 해양 선적의 무역을 줄이고 유렵과 철도로도 무역을 하겠다는 것입니다. 두자기 루트를 사용하겠다는 것인데요, 하나는 육지 기반의 실크로드 경제벨트로 철도를 이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해상 기반의 해상 실크로.. 2022. 9. 28.
불난 환율을 진정시킬 수 있는 통화 스와프 어제(2022년 9월 23일) 국민연금과 한국은행이 통화 스와프를 실시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제가 뉴스에서 처음으로 통화 스와프라는 말을 들었던 것은 코로나가 터지면서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을 한 것인데요, 정리를 하다 보니 2008년에도 미 연준과 통화 스와프를 채결하였던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 중학생이었던 저에게는 크게 와닿지 않아서 기억이 없었지만 어제 발표된 국민연금과 한국은행 간의 통화 스와프는 투자자인 저에게는 약간의 호재로 작용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불난 환율을 진정시킬 수 있는 통화 스와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통화 스와프란? 통화 스와프(Currency Swap)는 각국의 통화를 교환(Swap)하여 단기적으로 자금의 유동성을 개선하는 계약으로 통화교환협정이라고도 합니다. 외화를 자국.. 2022. 9. 27.
세계의 금리를 움직이는 곳, 연방준비제도 한국시간으로 9월 22일 미국의 연방준비제도, 일명 연준에서 3 연속 자이언트 스텝(0.75%p 인상)을 강행했습니다. 그에 따라 한국은행에서도 앞으로의 한국 금리를 올리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는 유럽이나 아시아에서도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아주 높아졌습니다. 오늘은 세계의 금리를 움직이는 곳인 연방 준비 제도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연방준비제도의 탄생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 일명 연준은 미국의 중앙은행입니다. 저의 주변 사람들은 FED라고도 부릅니다. 이전에 달러의 역사에 대한 글에서 설명을 드렸듯이 초기의 달러는 각 주별로 달랐던 적도 있고, 연방정부의 권한을 견제하는 세력들이 많았어서 중앙은행이라는 개념이 없었습니다. 그 후 드디어 은행들의 수익을.. 2022. 9. 26.
미국 3대 주가지수, S&P 500 이전에 2개의 포스팅으로 소개해드린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그리고 나스닥 지수에 이어서 오늘은 마지막으로 S&P 500 지수에 대하여 정리하려 합니다. 사실 두 가지 지수들은 30개 기업이나 IT 및 벤처기업을 토대로 지수를 산출하기에 미국 시장 전체를 반영하기 어려운데요, 오늘 정리할 S&P 500 지수는 미국 시장을 다른 지수에 비해 더 정확히 반영합니다. S&P 500이란? S&P 500은 미국의 신용평가회사 Standard & Poors에서 개발한 주가지수로 실질적인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지수입니다. 미국의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을 묶어서 지수로 뽑는데요, 나스닥처럼 IT기업이나 벤처기업만 반영하거나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처럼 소량의 기업만 반영하는 것이 아니기에 포괄적으로 미국 시장을 반영.. 2022.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