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은 집값에 내 집 장만이 어려운 요즘 시기에 정부에서 2027년까지 공공주택 50만 호를 공급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공공분양 주택이 누구에게 그리고 어디에 공급되는지 정리하고 청약 조건과 환매조건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아래 내용 참고하셔서 다들 내 집 장만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공공분양주택은 대상자로 중장년층 16만 호, 청년층 34만 호로 나눠져 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 6만 호, 수도권 30만 호, 비수도권 14만 호씩 공급 예정입니다. 서울과 수도권 공공분양주택 중 1.1만 호는 올해 연말부터 사전청약 예정입니다.
공공 부양 주택 유형별 비교
나눔형 공공주택 (25만 호) : 분양가는 시세의 70% 이하로 책정하여 분양됩니다. 의무거주 기간은 5년이며 10년 전매제한 기간이 있습니다. 사전청약 공급지역은 고양 창릉, 부천 대장, 구리, 남양주로 서울로 접근성이 좋은 역세권입니다.
선택형 공공주택 (10만 호) : 저렴한 임대료로 우선 거주하다가 6년 이후 분양 여부를 선택합니다. 분양은 입주 당시의 추정 분양가와 분양 시 감정가의 평균으로 분양하며, 입주 시점에는 보증금의 최대 80%까지 최저 1.7%의 고정금리로 대출해줍니다. 사전청약 공급지역은 고양 창릉, 마곡, 안양, 위례, 고덕, 남양주 등 3기 신도시 및 GTX 역세권입니다.
일반형 공공주택 (15만 호) : 시세 80% 수준의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며 청년층에 대해서는 대출한도와 금리를 우대해줍니다. 대출한도가 신혼부부는 4억 원, 생애최초의 경우 2억 원까지 완화됩니다. 사전청약 공급지역은 서울 대방, 동작구, 남양주 등입니다.
각 유형별 공공 주택의 공급 비중 및 공급 대상은 아래와 같이 나눠져 있는데요, 많은 청년들이 궁금해하고 저도 가장 관심이 많은 청년 기준의 대상만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나눔 형과 선택형 공공주택의 청년 공급 비중은 15%씩이며 19~39세이며 미혼이고 주택소유 이력만 없으면 됩니다. 월평균 소득도 웬만한 상위 대기업이 아니라면 넉넉한 140%(450만 원) 이하라면 지원이 가능합니다. 또한 특이하게도 금수저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세대분리와 무관하게 부모 자산을 반영하여 순자산 9.7억 원 이상이라면 지원이 제한됩니다.
평범한 미혼 30대 청년인 저는 나눔형 공공주택의 청년 대상을 눈여겨보며 실거주에 적합한 경기 지역이 나오면 지원을 해보려 합니다. 다들 오늘 포스팅을 통해 적합한 공공주택을 찾으셔서 지원하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추후 나눔형 공공주택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경제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점 더 벌어지는 파운드리 점유율 격차, 독주하는 TSMC (0) | 2022.12.10 |
---|---|
화물연대 파업 이유와 앞으로의 영향 (0) | 2022.12.09 |
일대일로의 도구, AIIB(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이란? (0) | 2022.12.06 |
미국 금리인상 속도조절론 등장? 채권 투자하는 방법 (0) | 2022.11.28 |
라임 사태란? 라임 사태 쉽게 이해하기 (사모펀드) (0) | 2022.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