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뉴스에서 경기 침체관련된 소식들이 많이 들리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샴의 법칙에 대한 뉴스들이 많습니다. 경기 침체를 가늠하는 지표 중 하나인 샴의 법칙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샴의 법칙(Sahm Rule)
샴의 법칙은 경제학자인 클라우디아 샴이 개발한 경기침체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3개월 평균 실업률이 이전 12개월 중 최저치보다 0.5포인트 높으면 경기침체가 임박했다는 뜻입니다.
간단히 실업률과 경기에 대한 관계를 설명드리자면 실업률이 상승하면서 소비가 감소하고 기업이익이 둔화되게 됩니다. 그렇게 다시 실업률이 상승하고 소비가 감소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경기침체에 접어들게 됩니다.
샴의 법칙은 1970년대 이후의 경기침체에 대입했을 경우 대부분의 케이스에서 침체를 대변하여 많은 분들이 샴의 법칙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반대로 0.5를 초과하지 않았지만 경기침체가 발생한 경우도 있어 샴의 법칙이 높아진다면 침체에 가능성을 두고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연준(FRED)에서도 샴의 법칙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현재 기준으로 7월의 샴의 법칙에 따른 경기침체 수치는 0.43입니다. 침체에 가까운 수치로 현재 주식 매매는 리스크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저도 샴의 법칙을 알게 되고 나서 수익 실현 후 현금 비중을 높이고 있습니다.
물론 샴의 법칙의 수치가 0.5를 뚫게 되는 것이 경기 침체 시작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제까지 역사적으로 샴의 법칙을 뚫게 되었을 때 샴의 법칙과 경기 침체가 같이 나왔기에 조심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됩니다.
침체될 확률이 있는 시장에 현금을 던지는 것은 위험한 짓이기에 추가적인 미국의 실업률 지수를 더 보고 난 후 투자를 하는 것이 맞다고 보입니다.
2022.10.07 - [경제 및 이슈] -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의 의미와 대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의 의미와 대처
뉴스나 신문에서 우리는 현재 인플레이션의 시대에 살아가고 있다는 말들이 많이 나옵니다. 우리는 인플레이션 이후에는 디플레이션이 올 것이고 언젠가 스태그플레이션도 겪게 될 것입니다.
hoon4038.tistory.com
2022.10.21 - [재테크 공부 및 꿀팁] - 장단기 금리차란? 장단기 금리차 역전의 의미는?
장단기 금리차란? 장단기 금리차 역전의 의미는?
투자에 참고할 수 있는 지표들은 많이 있는데요, 대표적으로는 재무제표에 나타나는 ROE, PER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재무제표에 나타나지 않는 지표들도 많은데요, 이전에 포스팅했었던 RSI(상대
hoon4038.tistory.com
'경제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 마녀의 날이란? (4) | 2024.09.08 |
---|---|
R의 공포란? (Ft. 경기 침체) (8) | 2024.09.06 |
다시 돌아온 반도체 상승 사이클 언제까지 갈까? (Ft.하이닉스, 삼성) (0) | 2024.04.03 |
스트레스 DSR(Debt Service Ratio)이란? (1) | 2024.03.30 |
엔비디아에 HBM 공급하는 삼성전자(Feat.삼성전자 주식 매수하는 이유) (2) | 2023.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