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 및 꿀팁80

재무제표의 BPS, PBR이란? 재무제표 쉽게 이해하기 우리는 재무제표를 통하여 기업의 과거와 현재를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합니다. 투자에 있어서 꼭 기업의 재무제표는 보고 투자를 결정하여야 합니다. 이전에 ROE, PER 등 중요한 지표들에 대해 정리를 했었는데요, 오늘은 투자에 조금 더 도움이 되시도록 추가로 참고할 만한 지표인 BPS와 PBR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BPS(Book-value Per Share)이란? PBR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BPS를 먼저 이해해야 하는데요, BPS는 주당순자산가치라는 뜻으로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한 주식수로 나눠서 구합니다.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서 순자산을 구하고 그것을 발행한 주식 수로 나눠주는 것인데요, 만약 기업의 총자산이 3억 원이고 부채가 1억 원에 총 발행 주식수가 1만 주라고 한다면, BPS는 2억 .. 2022. 10. 31.
미국 배당주 종류 쉽게 알아보기(배당 킹, 배당 귀족, 배당 챔피언, 배당 블루칩) 많은 분들이 미국 주식을 하는 이유로 꾸준한 우상향 하는 미국 시장과 함께 높은 배당성향을 꼽는데요, 배당주라고 아무런 배당주를 투자하면 안 되는 것을 아시나요? 당장에는 배당을 많이 주지만 추후 배당 컷(배당금을 삭감하는 것)을 할 수도 있기에 투자할 주식을 잘 선정해야 합니다. 오랜 기간 배당금을 상승시킨 기업이라면 더욱 신뢰를 얻을 수 있을 텐데요, 오늘은 배당금을 꾸준하게 상승시킨 배당 킹, 배당 귀족, 배당 챔피언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꾸준한 배당 상승을 해야 얻을 수 있는 타이틀 배당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인데요, 많은 하락장에서도 꾸준히 배당을 상승시키면 아래의 타이틀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배당 킹(Dividend King) : 50년 이상 꾸준히 배당을 상.. 2022. 10. 27.
모르면 손해 보는 미국 주식 세금과 절세 방법 사람이 살면서 피할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세금인데요,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하는 주식에도 세금이 당연히 있습니다. 미국 주식 세금은 한국 주식의 세금과 약간 다른데요, 오늘은 미국 주식하는 사람은 꼭 알아야 하는 미국 주식 세금에 대해 정리하며 미국 주식 투자 주의사항과 세금을 어떻게 아낄 수 있을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미국 주식 세금 종류(양도 소득세, 배당 소득세) 우선 양도 소득세는 주식을 사고팔면서 발생한 양도 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1월 1일에서 12월 31일까지 매매한 주식들에 대해 수익과 손실을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미국 주식에 대한 양도 소득세도 비과세 범위가 있는데요, 1년에 250만 원까지는 수익을 보아도 양도 소득세를 내지 않으셔도 됩니다. 250만 원을 .. 2022. 10. 26.
장단기 금리차란? 장단기 금리차 역전의 의미는? 투자에 참고할 수 있는 지표들은 많이 있는데요, 대표적으로는 재무제표에 나타나는 ROE, PER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재무제표에 나타나지 않는 지표들도 많은데요, 이전에 포스팅했었던 RSI(상대 강도 지수), VIX(공포 지수)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 장단기 금리차에 대해 정리하고 역전되었을 때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장단기 금리차란? 조회 방법도 알아보기 장단기 금리차란 말 그대로 장기 채권의 금리와 단기 채권의 금리의 차이를 말합니다. 장기와 단기의 기준이 명확히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 장기는 10년물 국채금리, 단기는 2년물 국채금리를 기준으로 이야기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오랜 기간 동안 기다려야 하므로 리스크가 높은 장기 채권의 금리가 크기 때문에 장단기 금리차는 양의 값.. 2022.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