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 및 꿀팁

PSR(Price per Sales Ratio)이란?

by hoon4038 2023. 8. 27.

 ROE, PER 등 재무제표에서 기업에 대해 알려주는 지표들은 꼭 봐야 하는데요, 그중에서 PER은 주가와 시가총액을 통해 해당 기업의 미래가치를 대변합니다. 오늘은 기업의 현재가치를 대변하는 PS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SR
PSR이란?

 

 PSR(Price per Sales Ratio)

 PSR은 주가매출비율이라는 뜻으로 매출액에 비하여 시가총액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 EV/EBITDA 등의 지표들은 기업이 순이익을 내고 있어야 평가가 가능한데요, PBR은 흑자 전환을 안 한 성장 중인 기업들을 평가할 때도 유용합니다.

 

 PSR = 시가총액 / 매출액

 위의 식에서 시가총액은 기업의 현재가치를 대변하는데요, 사실 PSR보다 PER을 좀 더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유는 매출액이 아무리 높아도 순이익이 낮다면 부실한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PSR을 통하여 저평가된 기업을 발굴할 수 있는데요, 대표적인 예시가 미국의 아마존입니다. 아마존은 초기 10년 이상 적자를 보면서 PER은 마이너스였는데요, PER을 보고 아마존을 매도하였다면 현재 땅을 치고 후회할 것입니다.

 

 PSR을 통해 분석하는 방법

 PSR은 기본적으로 동종업계의 기업들의 PSR을 같이 놓고 비교를 합니다. 예를 들어 AI 관련 주식 A, B, C가 있고 C기업에 투자 중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A, B 기업의 PSR이 3이고 C 기업이 10이라면 C기업은 고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SR은 안정적인 궤도에 오른 기업을 평가하기보다는 저평가되었거나 성장 중인 기업을 평가하는데 PER이나 EBITDA보다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므로 성장주 발굴에 활용가능합니다. 

 

2022.09.04 - [재테크 공부 및 꿀팁] - #4 PER (주가수익비율)

 

#4 PER (주가수익비율)

지난번에 재무제표에서 회사가 돈을 활용하여 분기 또는 1년 동안 얼마를 벌어들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인 ROE(자기 자본 이익률)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ROE에 대해 알아보고 싶

hoon4038.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