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이슈

자본주의의 몰락, 경제 대공황

by hoon4038 2022. 9. 14.

 

 안녕하세요, 오늘은 교과서나 TV에서 들어보셨을 경제 대공황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대공황(The Great Depression)은 미국을 시작으로 1929년에 발생한 세계적 경제 공황입니다. 대규모 실직과 함께 금융 시장의 침체 및 혼란이 일어나 자본주의를 흔드는 초유의 경제 침체입니다. 이후에도 닷컴 버블, 리먼사태 등 많은 경제 위기가 있었지만 대공황보다 크게 폭락하지는 못하였습니다. 만약 닷컴 버블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2.09.11 - [경제 이슈 및 재테크] - 희망으로 이뤄진 거품, 닷컴 버블

 

희망으로 이뤄진 거품, 닷컴버블

 오늘은 제가 태어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발생했던 닷컴 버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에서는 IT버블이라고도 명명하는데요, 닷컴 버블 때문에 나스닥지수는 2000년 초부터 2002년 말까지 고

hoon4038.tistory.com

 

 

 경제 대공황의 배경

 여러 의견들이 있지만 가장 널리 알려진 이유로는 당시 미국 정부의 방임주의와 시장 만능주의의 한계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유방임주의로 인해 작은 기업들은 큰 기업에 합병이 되거나 파산을 하게 되어 결국 거대한 독과점 시장이 형성되었습니다. 그 결과 19세기 후반기에는 정부의 방임주의를 배경으로 독과점을 통해 막대한 돈을 번 석유왕(록펠러), 철도왕(카네기), 금융왕(J.P 모건) 등 많은 산업 자본가들이 생겼습니다. 그 결과 빈부격차가 심해졌고 기업과 노동자들 사이에 큰 갈등을 만들어냈습니다. 대표적으로 록펠러 회사에서 운영하던 광산에서 노동자들이 권리 요구를 하자 기업에서 대규모 해고를 시켰고 농성 중에 군인들이 노동자들에게 총격까지 가하는 참사가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이 당시에 유럽은 전쟁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생산이 마비되었었고, 미국으로부터 대부분 수입을 하며 생활하였습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미국은 광란의 시대라는 호황기를 맡게 됩니다.

 

 경제 대공황 발생

 경제 호황 중에 1929년이 되었고, 돈을 끌어모으는 주식 시장이 투기장이 되어있었고 다우존스 지수가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정부는 시장에 개입을 안 하는 방임주의였고, 주식 시장은 무서울 정도로 과열되기 시작합니다. 그러다 1929년 10월 24일 검은 목요일이 오게 됩니다. 대규모의 주식 매도가 발생하고 주가가 곤두박질치게 됩니다. 주식시장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자산가들이 힘을 합쳤지만 이미 커진 미국의 경제시장의 몰락을 막기는 힘들었습니다. 그 후 10월 29일 검은 화요일이 되었고 더 큰 폭락을 맡게 됩니다. 1929년에서 1933년 동안 9000개의 은행이 문을 닫고 실업률은 25%까지 치솟게 되고 대도시의 주변에 판자촌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한국에서 IMF 당시 실업률이 7%인 것을 감안하면 비하면 25%는 엄청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의 경제가 붕괴되면서 공황은 세계로 퍼져나가게 됩니다.

 

 경제 대공황 극복

 경제 대공황을 극복하기 위해 루스벨트 대통령은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뉴딜 정책을 도입합니다. 뉴딜 정책의 핵심은 미국 자본주의에 대한 신뢰의 회복이었습니다. 1차 뉴딜 정책은 은행의 개혁으로 예금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은행의 휴일을 도입합니다. 또한 테네시강 개발 사업을 통하여 일자리를 창출하고 후버댐 개발 사업과 라스베이거스 카지노를 합법화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뉴딜 정책으로만 대공황을 극복할 수 있었던 건 아니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전쟁을 통하여 회복이 가능하였는데요, 바로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한 군수산업으로 다시 미국 경제가 회복될 수 있습니다.

 

 저는 경제 대공황이라는 것을 학교의 교과서에서만 봤었고 이전에 모던타임스 영화도 그저 웃긴 코미디 영화로 보았는데요, 오늘 공부를 하며 다시 기억을 돌아보니 마냥 웃긴 영화가 아닌 비극을 코미디로 희화화한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또한 공부하면서 다시 한번 어떻게 일어났고,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행동을 하였는지 공부할 수 있어 뜻깊은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다들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