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이슈

달러(Dollar)의 역사

by hoon4038 2022. 9. 15.

 안녕하세요, 오늘은 블로그를 처음 시작할 때 다뤘던 세계 화폐의 중심인 달러(Dollar)의 역사에 대해서 더 깊이 다뤄보고자 합니다. 이전에 9월 1일에 작성하였을 때만 해도 1달러에 1340원이었는데요, 현재는 1380원까지 치솟으면서 달러의 위엄을 다시 한번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전에 작성하였던 달러에 대한 글을 가볍게 읽어보시면 더욱 도움이 될 것 같아 링크 남겨드립니다.

 

2022.09.01 - [경제 이슈 및 재테크] - 최강의 화폐, 달러(Dollar)

 

최강의 화폐, 달러(Dollar)

 안녕하세요, 저는 주식 투자에서도 특히 미국 주식에 제 자본의 90% 이상을 넣어두고 있습니다. 2020년에 한미 통화스와프를 체결하며 낮은 환율을 보일 때, 처음 주식계좌에서 환전을 하며 미국

hoon4038.tistory.com

 미국의 역사와 화폐

 처음 유럽의 이민자들이 미국에 왔을 때는 영국의 금화와 은화를 사용하여 경제활동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경제가 성장하면서 금화와 은화는 공급이 부족하였고, 미국에서 자체적으로 금화와 은화를 만들려 하였지만 영국에서 금지하였습니다. 그에 따라 미국은 영국의 금은화를 대체할 화폐가 필요하였고, 첫 번째로 아메리카에 식민지를 가지고 있는 스페인의 화폐를 사용하는 방법을 생각해냈습니다. 두 번째는 약속어음으로써 종이 지폐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었지만 이것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바로 미국의 각 주마다 종이 지폐의 생김새가 달랐고, 정부에서 필요할 때마다 종이 지폐를 만들어 경제에 큰 혼란을 야기하였습니다. 그러다가 보스턴 차 사건이 일어났고 독립 전쟁이 발발하였습니다. 전쟁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13개 주가 연합하여 통일 지폐로 통일시키자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전쟁을 치르면서 통일 지폐를 많이 찍어내면서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습니다. 전쟁이 길어지며 독립전쟁에서 승리하면서 미국이 건국되고 민간 은행이 설립되게 됩니다. 초대 재무 장관알렉산더 해밀턴은 경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세 가지 정책을 폅니다. 첫 번째는 중앙은행을 설립, 두 번째는 국채를 발행하여 연방정부의 수입을 확보하는 것이고 마지막 세 번째는 통일된 화폐를 만들어야 한다고 의견을 냈습니다. 그렇게 첫 번째 미국 정부가 처음으로 금화와 은화를 만들었습니다. 여기서 첫 번째 정책의 중앙은행은 20년 기한을 둔 은행이었고 폐지가 되자마자 민간은행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게 됩니다. 민간은행은 1800개까지 늘어나며 화폐의 종류는 9천 개에 달할 정도로 많아지게 됩니다.

 달러의 탄생

 그 후 1861년 남북전쟁이 발발하게 되고, 전쟁자금으로 정부에서 '그린백'이라는 최초의 지폐를 발행하였습니다. 전쟁 후 독립 전쟁과 동일하게 그린백은 시장에 너무 많이 풀려있었고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다시 찾아왔습니다. 정부는 그린백을 회수 및 소각하여 통화량을 줄였습니다. 그 후 미국은 금은화를 모두 사용하는 금은 본위제를 채택했었는데요, 서부에서 골드러시가 발생하면서 은의 가치가 올라가게 됩니다. 따라서 미국은 금본위제를 선택하게 됩니다. 그 후 중앙은행과 같은 연방준비제도(FED)가 설립되었습니다. 연방준비제도가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달러를 발행하였습니다. 하지만 당시의 달러는 지금과 같은 힘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힘을 가지게 되는 달러

 달러는 제1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막강한 힘을 가지게 됩니다. 유럽은 전쟁물자를 미국에서 사 올 때 금을 지불하였고 미국은 금 최대 보유국이 되게 됩니다. 그러다가 세계 대공황이 발생하였고, 제2차 세계대전을 맞이하게 됩니다. 미국은 2차 세계대전에서 세계 최강의 경제력을 갖게 됩니다. 종전 전에 국제 경제의 혼란을 예방하고자 미국의 뉴햄프셔주에서 브레턴우즈 체제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브레턴우즈 체제에서 주요한 내용 중 하나는 금환본위제입니다. 달러와 금만 교환할 수 있고 각국의 화폐는 금대신에 달러와 고정환율제로 교환을 하게 하는 것입니다. 또한 전쟁 후 복구를 위해 미국의 마셜플랜으로 유럽에 달러를 빌려주었습니다

 달러의 위기

 전쟁 복구를 위한 마셜플랜으로 달러는 전 세계에 공급되었지만, 미국의 무역수지는 적자를 찍게 됩니다. 여기서 프랑스의 샤를 드골 대통령은 달러를 못 믿는 다며 발언을 하였고 전 세계의 미국에 대한 시선은 불신으로 가득 차게 됩니다. 그것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달러를 금으로 바꾸기 시작하였습니다. 여기서 닉슨 미국 대통령은 금태환 중지 청책을 내면서 닉슨 쇼크가 일어나게 됩니다. 금태환 중지를 하며 달러는 진정한 기축통화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달러의 역사에 대해 더 자세히 정리해보았습니다. 처음 달러에 대해 글을 쓸 때 보다 역사에 집중하여 접근하니 흐름을 더 읽을 수 있었던 것 같고 달러에 대한 믿음이 더욱 커진 것 같습니다. 저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달러를 투자하며 미국 주식을 사모을 것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인플레이션과 경제 대공황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 참고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2022.09.13 - [재테크 공부방] - #8 인플레이션

 

#8 인플레이션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제를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하고 겪을 수밖에 없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이거나 화폐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hoon4038.tistory.com

 

2022.09.14 - [경제 이슈 및 재테크] - 자본주의의 몰락, 경제 대공황

 

자본주의의 몰락, 경제 대공황

 안녕하세요, 오늘은 교과서나 TV에서 들어보셨을 경제 대공황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대공황(The Great Depression)은 미국을 시작으로 1929년에 발생한 세계적 경제 공황입니다. 대규모 실직과

hoon4038.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