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이슈

신제품 발표한 엔비디아 (Feat.삼성전자를 적립식 매수하는 이유)

by hoon4038 2023. 8. 20.

 최근 미국 주식이 크게 하락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다음 주인 8월 23일 엔비디아의 실적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엔비디아가 나스닥을 다시 끌어올릴 수 있을지 주목해야 합니다.

 

엔비디아 신제품
엔비디아 신제품 발표

 

 엔비디아의 신규 AI 칩 공개

 8일 엔비디아가 로스앤젤레스에서 진행한 연례 콘퍼런스에서 차세대 AI 칩인 'GH200  그레이스 호퍼 슈퍼칩'을 발표하였습니다. GH200은 현재의 H100과 동일한 GPU에 ARM기반의 141GB 메모리, 72 코어 CPU를 결합한 것입니다.

 AI 칩인 GH200에는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3e이 탑재되어 있는데요, HBM3e는 이전에 포스팅했듯이 DRAM을 수직으로 쌓아 속도를 높인 것입니다. HBM3e는 4세대 HBM으로 업계 최초로 AI 칩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2023.07.27 - [경제 및 이슈] - HBM이란? AI 시대와 날아오르는 HBM 시장(Feat.하이닉스, 삼성전자)

 

HBM이란? AI 시대와 날아오르는 HBM 시장(Feat.하이닉스, 삼성전자)

2020년대에 들어오면서 HOT한 트렌드인 AI(Artificial Intelligence) 시장에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AI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HBM이 무엇인지와 국내의 삼성전자, 하이닉스

hoon4038.tistory.com

 엔비디아 대표인 젠슨 황은 "증가하는 AI 컴퓨팅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세계 데이터센터의 규모를 확장시키도록 설계했다"라고 밝혔습니다. GH200을 이용하면 대규모언어모델(LLM)의 추론 능력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킬 것이라 말하였습니다.

 

 엔비디아 신규 AI 칩 개발로 인한 수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GH200에는 신규 4세대 HBM인 HBM3e이 들어가게 됩니다. 이에 따라 HBM시장의 파이가 커지게 될 것이고 현재 HBM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수혜를 받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HBM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45%씩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되는데요, 현재는 DRAM 안에서 작은 부분에 해당하지만 AI 시장이 커질 것은 다들 인정하는 부분이고 거기에 따라 HBM시장도 성장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중에 삼성전자를 매월 적립식으로 매수하고 있는데요, 이유는 나중에 따로 포스팅하겠지만 간단히 설명드리면 삼성전자는 메모리뿐만 아니라 다른 사업부로부터도 수익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하이닉스는 메모리 시황에 따라 매출과 영업이익이 움직이기 때문에 반도체 사이클에 따라 등락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삼성전자의 배당금에 맞춰 배당 정책을 많이 올려줘서 주주친화적으로 변화되었지만 여전히 삼성전자의 수익구조보다는 불안하다고 생각되어 삼성전자를 매월 적립식으로 매수 중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