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 경제학에 대해 최대한 쉽게 정리했었는데요, 오늘은 경제학의 큰 두 축인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경제학도 많은 종류가 있지만 저는 경제학과 학생이 아니므로 깊게 알아야 할 필요도 없을뿐더러 알지도 못합니다. 그렇기에 최대한 공대생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
미시경제학이란?
미시경제학은 자원의 분배와 기업의 행동에 포커스를 맞춘 경제학입니다. 미시경제학은 가격이론이라고 불릴 정도로 가격의 중요성이 주요하고, 그러므로 개별 상품의 생산량과 가격의 균형이 중요합니다. 미시경제학은 소비자 선택 이론과 생산자 이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소비자 선택 이론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 소비자의 의사 결정을 분석합니다. 여기서 소비자는 한정적인 예산에서 효율을 극대화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게 됩니다. 이것과 달리 생산자 이론은 기업의 생산 활동에 관한 것을 다룹니다. 생산을 노동력을 투입하여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데요,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생산 요소의 적절한 조합으로 생산비를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시경제학의 모형
미시경제학의 분석은 가격이 결정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데요, 가격 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수요와 공급입니다. 초등학교 사회시간에 배웠던 수요와 공급 그래프가 미시경제학을 품고 있었다는 것이 신기합니다. 가격의 중요한 역할 은배급 기능과 배분 기능입니다. 만약 가격이 없다면 사람들은 끊임없이 서비스를 이용하려 할 것입니다. 여기서 가격은 사람들의 욕구를 통제하는 배급 기능을 합니다. 반면 제품의 공급이 부족하여 수요가 증가하게 된다면 가격이 오르는데요, 이것의 결과로 제품의 생산을 야기하여 배분 기능을 합니다. 이것이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된 국가의 개입 없이 시장의 가격이 조정되는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입니다.
제품의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면 기업은 이익을 보기 위해 생산량을 늘리게 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아이러니하게도 공급이 늘어나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반면 가격이 낮게 형성이 된다면 소비자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어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가격은 균형을 맞추게 되는데요 이 가격을 균형 가격이라고 합니다. 수요, 공급 그래프에서 수요 그래프와 공급 그래프가 만나는 가격을 균형 가격이라 하고, 그때의 거래량을 균형 거래량이라 합니다. 아래의 그래프를 기준으로 설명드리자면 우선 S는 공급(Supply) 선이며 D는 수요(Demand) 선입니다. 아래의 Pa 가격에서는 수요가 공급을 앞지른 상태로 공급을 늘리게 되면서 가격은 올라가게 됩니다. 그러다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경우 수요가 줄어들면서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그 사이에 e지점(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지점)을 균형 가격과 균형 거래량이라고 합니다. 결과적으로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조절을 통해 균형 잡힌 가격으로 형성되게 됩니다.

거시경제학이란?
거시경제학은 미시경제학의 개별의 경제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국가 전체적인 경제 현상에 대해 분석하여 이것을 활용해 국민의 소득, 실업, 환율, 물가 등 실물경제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 이런 변수들 간의 상호 연관성, 소득의 변화를 설명하는 경제성장이론 그리고 단기 실업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경기변동 이론을 연구해 총체적이면서 거시적 관점에서 경제를 해석합니다. 거시경제학에서도 개인이나 시장의 미시적인 결정사항을 집계하는 이론이 있지만 미시경제학처럼 세부적이지는 않습니다. 거시경제학에서 지표로 GDP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도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2.09.21 - [경제 및 재테크] - 나라의 경제규모를 파악할 때 보는 GDP
나라의 경제규모를 파악할 때 보는 GDP
한 국가의 경제규모를 파악할 때 무역수지 등 많은 지표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대표적으로 국내 총생산인 GDP(Gross Domestic Product)로 설명을 합니다. 뉴스나 신문에서도 GDP를 통하여 국가의 경제
hoon4038.tistory.com
'경제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갚을 수 없을 때 선언하는 디폴트(Default)란? (0) | 2022.10.28 |
---|---|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쉽게 알아보기(조건, 금리, 제출서류 등) (0) | 2022.10.25 |
경제학이란? 경제학 쉽게 이해하기 (0) | 2022.10.20 |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점유율 1위, 전망 및 리스크 간단하게 알아보기 (0) | 2022.10.19 |
끊임없이 오르는 금리, 어떻게 대응할까? (0) | 2022.10.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