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이슈100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이란? 쉽게 이해하는 경제학 지난 시간 경제학에 대해 최대한 쉽게 정리했었는데요, 오늘은 경제학의 큰 두 축인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경제학도 많은 종류가 있지만 저는 경제학과 학생이 아니므로 깊게 알아야 할 필요도 없을뿐더러 알지도 못합니다. 그렇기에 최대한 공대생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 미시경제학이란? 미시경제학은 자원의 분배와 기업의 행동에 포커스를 맞춘 경제학입니다. 미시경제학은 가격이론이라고 불릴 정도로 가격의 중요성이 주요하고, 그러므로 개별 상품의 생산량과 가격의 균형이 중요합니다. 미시경제학은 소비자 선택 이론과 생산자 이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소비자 선택 이론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 소비자의 의사 결정을 분석합니다. 여기서 소비자는 한정적인 예산에서 효율을 극대화하는 .. 2022. 10. 21.
경제학이란? 경제학 쉽게 이해하기 저는 경제학이라는 것을 배운 적이 없는 공대 출신 직장인입니다. 고등학교에서 사회시간에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등 유명한 용어들만 몇 번 들어보았을 뿐 대학교에서 제대로 경제학에 대해 공부를 해본 적은 없습니다. 제 인생의 목적처럼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경제학에 대해 꼭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여 경제학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경제학이란? 경제학은 자원이 제한된 상황에서 인간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연구하는 사회과학 분야 중 하나입니다. 서비스나 재화의 소비, 분배, 생산에 초점을 맞춥니다. 재화와 서비스는 인간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인데요, 재화는 유형적인 것이고 서비스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것입니다. 재화와 서비스는 노동, 자본, 원자재 같은 것들을 결합하여 생산됩니다. 복잡한.. 2022. 10. 20.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점유율 1위, 전망 및 리스크 간단하게 알아보기 시장조사기관인 옴디아(Omdia)에서 올해 2분기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발표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자존심이자 코스피 시가총액의 20%를 담당하고 있는 삼성전자가 당당히 D램/낸드플래시 점유율 1위를 달성하였습니다. 특히 D램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4분기 41.9%부터 이번 2분기 43.4%로 2개 분기 연속 상승하였습니다. 오늘은 국민 주식인 삼성전자의 앞으로의 전망과 리스크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점유율 1위 및 넘을 수 없는 기술력 삼성전자는 현재 D램과 낸드플래시 점유율 1위를 꾸준히 지키며 첨단기술에 꼭 필요한 반도체 시장을 쥐고 있습니다. 또한 초미세 공정으로 Scaling에 한계가 온 반도체지만 2023년 5세대 10 나노급 D램(10 나노는 배선의 선폭을 뜻합니다)을 양산하고 2024년 V.. 2022. 10. 19.
끊임없이 오르는 금리, 어떻게 대응할까? 오늘 한국은행이 7월 이후 3개월 만에 빅스텝('기준금리 0.50%p 인상')을 밟으면서 서민들의 한숨이 깊어졌습니다. 2012년 이후 처음으로 3.0%대의 기준금리가 되었고 5회 연속 기준금리 상승도 역사상 최초일 정도로 인상 속도가 빠릅니다. 오늘은 이렇게 빠른 금리인상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끊임없는 금리인상은 언제까지? 근본적인 금리인상의 원인은 물가상승률입니다. 10월의 한국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도 10월 대비 5.6% 오르며 5%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8월 6.3%로 정점을 찍고 9, 10월 두 달 연속 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5%대로 높은 수준입니다. 오늘 한국은행은 국내 경기가 둔화되고 있지만, 물가가 목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어 .. 2022.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