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3 PSR(Price per Sales Ratio)이란? ROE, PER 등 재무제표에서 기업에 대해 알려주는 지표들은 꼭 봐야 하는데요, 그중에서 PER은 주가와 시가총액을 통해 해당 기업의 미래가치를 대변합니다. 오늘은 기업의 현재가치를 대변하는 PS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SR(Price per Sales Ratio) PSR은 주가매출비율이라는 뜻으로 매출액에 비하여 시가총액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 EV/EBITDA 등의 지표들은 기업이 순이익을 내고 있어야 평가가 가능한데요, PBR은 흑자 전환을 안 한 성장 중인 기업들을 평가할 때도 유용합니다. PSR = 시가총액 / 매출액 위의 식에서 시가총액은 기업의 현재가치를 대변하는데요, 사실 PSR보다 PER을 좀 더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유는 매출액이 아무리 높아도 순.. 2023. 8. 27. 재무제표의 BPS, PBR이란? 재무제표 쉽게 이해하기 우리는 재무제표를 통하여 기업의 과거와 현재를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합니다. 투자에 있어서 꼭 기업의 재무제표는 보고 투자를 결정하여야 합니다. 이전에 ROE, PER 등 중요한 지표들에 대해 정리를 했었는데요, 오늘은 투자에 조금 더 도움이 되시도록 추가로 참고할 만한 지표인 BPS와 PBR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BPS(Book-value Per Share)이란? PBR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BPS를 먼저 이해해야 하는데요, BPS는 주당순자산가치라는 뜻으로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한 주식수로 나눠서 구합니다.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서 순자산을 구하고 그것을 발행한 주식 수로 나눠주는 것인데요, 만약 기업의 총자산이 3억 원이고 부채가 1억 원에 총 발행 주식수가 1만 주라고 한다면, BPS는 2억 .. 2022. 10. 31. #4 PER (주가수익비율) 지난번에 재무제표에서 회사가 돈을 활용하여 분기 또는 1년 동안 얼마를 벌어들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인 ROE(자기 자본 이익률)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ROE에 대해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이번 시간에는 제가 투자할 때 ROE/EPS와 함께 투자할 때 가장 참고하는 PER(Price-to-Earnings Ratio)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2022.09.03 - [재테크 공부방] - #3 ROE #3 ROE 지난번에 다루었던 재무제표를 하나씩 뜯어보려 합니다. 오늘은 ROE에 대해 공부하려 합니다. 만약 재무제표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지난번에 올렸던 글을 참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2022.0 hoon4038.tistory.com PER(Price-to-E.. 2022. 9.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