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브프라임3

중국판 리먼 사태의 시작, 헝다 그룹 파산 최근 미국 신용 등급 강등과 함께 주식시장이 흔들리고 있는데요, 8월 18일 헝다그룹이 미국에서 파산 보호 신청을 했다고 합니다. 다시 주식 시장에 큰 파장을 불러올 헝다 그룹 파산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헝다 그룹 파산 중국의 대표 부동산 개발 업체인 헝다 그룹이 미국에 '챕터 15' 파산신청을 하였습니다. 헝다 그룹은 부채가 440조 원을 갚지 못하여 파산 보호 신청을 했습니다. 챕터 15는 외국 기업이 회생을 할 때,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의 채권자들의 채무 변제 요구와 소송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하는 규정입니다. 헝다는 2021년에도 30조 원 규모의 역외 채권을 갚지 못해 디폴트를 선언했었고 부동산 공포를 불러왔었습니다. 현재 중국 부동산은 예전 일본 부동산 현상과 동일한 흐름을 보이.. 2023. 8. 19.
하이먼 민스키 모델이란? (Feat.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부동산 시장이나 주식 시장이 우상향을 할 때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것도 중요하지만 투자에 있어서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데요, 오늘은 어떠한 형상으로 붕괴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모델인 하이먼 민스키 모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하이먼 민스키 모델이란? 하이먼 민스키 모델(Hyman Minsky Model)은 과도한 부채로 인한 경기 호황이 끝나고, 채무자가 부채상환을 못하면서 자산을 팔게 되어 자산 가치가 하락하고 금융위기가 시작된다는 것을 의미한 이론입니다. 미국의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가 제시한 이론입니다. 민스키 모멘트라고도 부릅니다. 하이먼 민스키 모델은 2007년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 2008년 세계를 덮친 금융위기에서 등장하면서 유명해졌습니다. 서브프라임 사태에서 부동산의 가격에 거품이.. 2023. 8. 7.
세계 최대 규모의 파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요즘과 같이 주식시장이 안 좋을 때마다 저는 과거의 폭락 사태를 돌아보며 마인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의 나스닥 지수, S&P 지수가 떨어지고 있으면 지금 들고 있는 주식을 팔아야 하는지 공포에 휩싸입니다. 하지만 저는 제가 투자하고 있는 회사에 대한 믿음으로 극복 가능할 것이라 생각하며 버티고 있습니다. 오늘은 2008년도에 터졌던 세계 최대 규모의 파산 사태인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배경 2000년도에 전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를 일으켰던 닷컴 버블 사태 이후에 미국은 경제 활성화를 위해 금리를 인하시키기 시작했습니다. 낮은 금리의 환경은 당시 미국의 중산층 사람들이 대출을 받아 집을 살 수 있게 만들어주었습니다.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 2022.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