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리 인하3

(미국 증시)12월 비농업 고용지수 발표 및 증시 하락 한국 기준 1월 10일 금요일 22시 30분 미국의 12월 비농업 고용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지수 발표와 함께 미국 증시가 큰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S&P500은 1.54%, 나스닥은 1.63% 하락하며 저의 주식 계좌도 큰 하락을 하였습니다.   비농업 고용지수란? 비농업 고용지수(Nonfarm Payrolls, NFP)는 매달 발표되는 지표로 농업 부문을 제외한 민간 부문과 일부 정부 부문의 고용 상황을 의미하는 지표입니다. 신규 고용 수를 포함하여 소비자 지출 및 경제 성장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습니다. 어제 발표된 지수는 예측인 16만 건보다 훨씬 높은 25.6만 건으로 발표되며 고용 시장이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에 따라 10년물 국채금리가 한 때 4.8%까지 상승하며 주식시장이 큰 폭.. 2025. 1. 11.
미국 금리인상 속도조절론 등장? 채권 투자하는 방법 끊임없이 오르던 미국의 금리로 많은 국가들이 미국을 따라 금리를 올렸고 주식시장에 많은 혼돈을 가지고 왔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미국의 금리인상이 11월 0.75%p 인상 이후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많은 고위 관계자들이 금리인상 폭을 좁히는 속도조절론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조절론? 이렇게 금리인상 속도조절론이 나온 가장 큰 이유는 미국의 전년대비 소비자물가지수(CPI)가 8% 아래인 7.7%로 떨어지게 되면서 인플레이션이 잡혔을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10월까지만 해도 8.2%를 기록하였기에 대부분의 사람들과 연준은 11월도 잘해봐야 8.0% 대가 나올 것이라 예상하였는데요, 7.7%를 기록하며 속도조절론이 나오.. 2022. 11. 28.
무제한 돈 풀기 경기부양책, 양적완화 양적완화라는 단어를 뉴스나 경제신문에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정책 중 하나로 금리인하로 경기부양이 한계가 보일 때 중앙은행에서 비장의 카드로 사용하는 정책입니다. 반대되는 단어로는 양적 긴축이 있는데요, 오늘은 경기부양책인 양적완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양적완화는 사전적 의미로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부양 효과가 한계에 달했을 때 중앙은행이 국채 매입 등으로 유동성을 시장에 푸는 정책입니다. 정책금리가 0%에 근접하거나 시장 경제의 흐름을 정책금리로 제어할 수 없는 유동성 저하상황에서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공급하면서 통화 거래량을 확대하는 것입니다. 즉, 금리를 내리지 않고 중앙은행이 채권이나 다른 자산을 사서 돈의 흐름을 늘리게 됩니.. 2022.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