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3 실러 지수(Shiller Index)란?(Ft.경기 침체) 최근 미국 주식 시장이 조정을 받으면서 호황기가 끝났다고 생각이 들었는데요, 오늘은 경기 침체를 예측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실러 지수(Shiller Index)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러 지수(Shiller Index)란? 실러지수는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로버트 실러(Robert Shiller)가 고안한 경제 지표입니다. 전체 주식 시장의 가치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상대적인 저평가 또는 고평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가격을 이익으로 나눈 비율(P/E)입니다. 위의 실러 지수(Shiller PE)를 CAPE(Cyclically Adjusted Price-Earnings) 지수라고도 하는데요, 요약하자면 S&P500 지수의 가격을 10년간의 인플레이션이 조정된 평균 수익으로 나눠서 계산합니다. 1.. 2025. 1. 8. 하이일드 스프레드란? (Ft. 경기침체 예측) 올해 들어 경기침체가 시작된다는 뉴스들이 많이 보이는데요, 동시에 하이일드 스프레드라는 단어들도 전문가 및 뉴스에서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경기침체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인 하이일드 스프레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란? 우선 하이일드(High Yield)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하이일드란 뜻 그대로 고금리라는 의미입니다. 신용 등급이 낮은 회사들이 발행한 채권으로 원리금 상환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만큼 이자율이 높습니다. 기준으로는 세계적인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에서 'BB' 등급 이하, 무디스(Moody's) 평가 기준으로 'Ba1'이하인 채권을 의미합니다. 하이일드 채권은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고위험 채권으로 정크 본드(Junk Bond)라고도 합니.. 2024. 11. 16. 샴의 법칙(Sahm Rule)이란? (Ft. 경기 침체 지표) 최근 뉴스에서 경기 침체관련된 소식들이 많이 들리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샴의 법칙에 대한 뉴스들이 많습니다. 경기 침체를 가늠하는 지표 중 하나인 샴의 법칙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샴의 법칙(Sahm Rule) 샴의 법칙은 경제학자인 클라우디아 샴이 개발한 경기침체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3개월 평균 실업률이 이전 12개월 중 최저치보다 0.5포인트 높으면 경기침체가 임박했다는 뜻입니다. 간단히 실업률과 경기에 대한 관계를 설명드리자면 실업률이 상승하면서 소비가 감소하고 기업이익이 둔화되게 됩니다. 그렇게 다시 실업률이 상승하고 소비가 감소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경기침체에 접어들게 됩니다. 샴의 법칙은 1970년대 이후의 경기침체에 대입했을 경우 대부분의 케.. 2024. 9.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