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를 하면서 매매기준으로 저는 기업의 재무제표, VIX지수 등 많은 지표들을 참고하고 있습니다. 재무제표로도 충분히 기업에 대해 알아볼 수 있고 VIX지수로 매수를 할지 말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참고하는 지표들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저도 관심 있었고, 알아보고 싶었던 RSI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RSI란?
RSI(Relative Strength Index)는 상대 강도 지수로 주식, 옵션, 선물 등의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보조지표입니다. RSI는 1978년 미국의 월레스 와일더(J. Welles Wilder Jr.)가 개발한 가격의 상승 압력과 하락 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낸 지표입니다. RSI로 현재의 시장 분위기가 매수 분위기인지 매도 분위기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RSI는 또한 이동평균선과도 관계가 있는데요, 아래의 RSI 계산방법 및 어떻게 해석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RSI 계산 방법과 해석하는 법
RSI는 아래의 방법으로 계산을 합니다.
- 가격이 전일 가격보다 상승한 날의 상승분은 U값이라고 한다.
- 가격이 전일 가격보다 하락한 날의 하락분은 D값이라고 한다.
- U값과 D값의 평균값을 AU(Average Ups)와 AD(Average Downs)라 한다.
- AU를 AD값으로 나눈 것을 RS(Relative Strength) 값이라고 합니다.
이제 위의 값을 이용해서 RSI를 구하면 됩니다. RSI = AU / (AU + AD) = RS / (1 + RS)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보통 14일간의 상승분과 하락분을 기준으로 RSI를 산출합니다. 수식으로도 알 수 있으시겠지만 RSI는 0과 1 사이의 수치를 가지게 됩니다. RSI를 만든 Welles Wilder는 RSI가 70% 이상이면 초과 매수하고 있는 시장이고, 30% 이하라면 초과매도의 시장으로 규정했습니다. 이것을 투자자 관점에서 활용한다면 RSI가 70% 이상일 경우 매도를 하여 익적을 하고 RSI가 30% 미만이라면 매수를 하여 자산 증식의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RSI 주의사항
RSI는 초과매수와 초과매도 시장을 확인할 수 있지만 호재에 의해 계속해서 강한 상승을 하는 시장이라면 RSI 값이 70% 이상이어도 계속해서 상승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반대로 RSI가 30% 이하이지만 계속하는 하락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RSI는 독립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보조적인 지수로 사용해야 합니다. 실제로 제가 물려있는 아픈 손가락인 마이크로소프트(MSFT)도 9월 초 RSI는 30 이하였지만 일시적 반등 후 다시 하락하고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것이 시장 전체의 분위기에 따른 것이지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우량주는 상승여력이 충분하여 RSI가 30 이하이고 재무제표 상태가 괜찮다면 추가 매수할 예정입니다.
마무리
RSI는 MTS에서도 추가를 할 수 있는데요, 저도 오늘 정리를 하면서 삼성증권 어플에 RSI를 추가하였습니다. 이제 주식을 매매할 때 참고할 지수가 하나 더 늘어나서 조금 더 든든해진 것 같습니다. 물론 RSI만 독립적으로 보면 안 되기에 기업의 실적위주와 앞으로의 비전에 대해 더 찾아보고 RSI는 보조하는 지표로만 참고를 할 것입니다. 여러분도 주식 매매 간에 많은 지수들을 참고하시면서 현명한 투자 하여 부자 되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VIX 지수나 재무제표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도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2.09.02 - [재테크 공부방] - #2 재무제표
#2 재무제표
오늘은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저는 투자를 할 때 꼭 재무제표를 보는데요, 재무제표는 쉽게 말하면 기업의 성적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전적 의미로는 기업의
hoon4038.tistory.com
'재테크 공부 및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얼마나 주가가 떨어졌는지 확인하는 MDD (1) | 2022.09.25 |
---|---|
#12 떨어져도 웃으면서 매수하는 KINDEX 미국나스닥100 (1) | 2022.09.24 |
#10 매월 분배금을 주는 ETF, SOL 미국S&P500 (3) | 2022.09.19 |
#9 세계 시가총액 1등 기업, 애플(AAPL) (1) | 2022.09.16 |
#8 인플레이션 (1) | 2022.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