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남자라면 국방의 의무를 다해야 하는데요, 저 또한 14년에 입대해 16년에 전역하였습니다. 전역 후에는 예비군 훈련이 시작되는데요, 연차가 쌓이면 예비군인지 동원인지도 헷갈리는데 오늘은 예비군 연차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비군 연차 확인 방법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나의 예비군 연차가 몇 연차이고 예비군 부대와 보직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간편 로그인 후 '나의 훈련정보'에서 몇 년차이고 예비군부대가 어디인지, 이제까지 어떤 훈련을 받았는지 등 확인이 가능합니다.
예비군 훈련 준비물은?
예비군 훈련시에 꼭 들고 가야 하는 것들이 있는데요, 신분증, 전투복과 전투화입니다. 만약 전투복 및 전투화가 체형에 맞지 않더라도 챙겨가야만 대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여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미리 부대에 연락해서 대여 가능 여부를 확인받아야 합니다.
연차별 예비군 훈련
예비군은 총 8년간 진행되는데요, 전역해당 연도를 0년 차로 기준으로 0년 차에는 예비군 훈련이 없습니다.
-. 1~4년 차 : 동원훈련(2박 3일)을 원칙으로 하며 대학교 재학생 경우 학생 예비군으로 기본 훈련 8시간만 진행합니다.
-. 5~6년 차 : 기본훈련(8시간)으로 지역 예비군으로 편성됩니다.
-. 7~8년 차 : 지역 예비군에서 오는 확인 연락에만 응답하면 됩니다. (만약 6년 차까지의 미이수 훈련이 있다면 진행됩니다)
반응형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증질환 산정특례란? 암환자 의료비 부담 줄이는 법 (0) | 2023.08.14 |
---|---|
대장내시경 전 먹으면 안되는 음식은? 대장내시경 주의사항 알아보기 (0) | 2023.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