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에 투자하면 코스피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할 정도로 삼성전자는 안정적이고 우량한 기업입니다. 한국 사람이라면 다들 삼성전자 주식은 들고 계실 텐데요, 오늘은 4분기 삼성전자 실적 발표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삼성전자 22Y 4Q 실적 발표
작년 4분기부터 시작된 반도체 시장의 불황이 이어지고 있는 와중에 삼성전자도 불황을 피해 갈 수 없었습니다. 22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하였는데요, 반도체(DS) 부문에서 영업이익 2,700억 원을 기록하며 어닝쇼크를 맞이했습니다.
21년 4분기 8조 8,400억 원 영업이익을 기록했었는데요, 22년 4분기에는 95% 이상 급감한 2,700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애초 시장의 전망치는 1조 원이었는데요, 1조 원에도 많이 모자란 2,700억 원으로 어닝쇼크를 맞았습니다.
반도체 사업부가 부진을 겪는 이유는 작년에 팔린 반도체 재고가 많이 남으면서 DRAM가격이 인하된 것이 가장 큰 요인입니다. 코로나 시국에 재택근무 등으로 인해 전자기기의 수요가 늘었었고 그 결과 DRAM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판매하였는데요, 코로나가 끝나가고 금리까지 인상이 되면서 수요가 급감하고 이전에 사뒀던 재고 때문에 실적 한파는 불가피하였습니다.
하지만 반도체를 위탁 생산하는 파운드리 사업부는 역대급 흑자를 기록하며 삼성전자의 실적을 조금이라도 방어해 주었습니다. GAA 기술을 통한 미세 공정으로 고객사를 늘리고 있고 앞으로의 영업이익 증가가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삼성전자의 모바일과 가전 사업부도 전년도 대비 이익이 줄었지만 삼성디스플레이는 전년보다 5,000억 원가량 증가한 영업 이익을 달성하였습니다. LCD의 재고 소진과 신규 제품인 QD-OLED TV의 판매확대로 상승하였는데요, 애플의 아이폰 생산량 감소로 흑자는 힘들 것이라 예상했었는데 의외의 선방을 보여주었습니다.
오늘은 삼성전자의 4분기 실적에 대해 정리해 보았는데요, 반도체 사이클은 올해 하반기부터 재고 소진이 되면서 다시 상승 사이클을 탈 것 같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저는 현재 월마다 소량씩 모으면서 대비하려 합니다. 한국의 주식시장을 대표하고 코스피와 같이 움직이는 삼성전자이기에 보험처럼 모아보겠습니다.
'경제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리콘밸리은행 파산에서 시작된 스타트업 위기 (0) | 2023.03.18 |
---|---|
확장 중인 TSMC, 앞으로의 전망(Ft. 워런 버핏 지분 매각) (0) | 2023.02.25 |
서울 대중교통 및 택시 기본 요금 인상 (0) | 2023.01.30 |
경유 휘발유 차이(Ft. 경유가 더 비싸진 이유) (0) | 2023.01.20 |
애플 디스플레이 자급(Ft. 마이크로 LED) (0) | 2023.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