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2

다시 돌아온 반도체 상승 사이클 언제까지 갈까? (Ft.하이닉스, 삼성) 재작년인 2022년까지만 하더라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둘 다 주가가 정신을 못 차리고 있었습니다. 저도 삼성전자 68층에 물려 탈출도 못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와 함께 날개 달린 듯 주가가 상승 중입니다. 새로운 공급 부족으로 줄 서서 사가는 HBM HBM은 High Bandwidth Memory로 ChatGPT와 같은 LLM(Large Laungage Model)이 뜨면서 도달한 AI시대에 꼭 필요한 부품입니다. 현제 AI 시장의 핸들을 잡고 있는 엔비디아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 등에서 HBM을 받아야만 GPU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올해까지 SK하이닉스에서 생산된 HBM은 전부 엔비디아가 샀다는 소식이 들릴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HBM 수요가 급증 중인 것.. 2024. 4. 3.
점점 더 벌어지는 파운드리 점유율 격차, 독주하는 TSMC 9일 대만의 시장조사업체인 트렌드포스에서 세계의 파운드리 점유율을 발표하였습니다. 삼성전자 주주인 저의 입장에서는 뼈아픈 내용인데요, 오늘은 현재 전 세계의 파운드리 상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점점 벌어지는 파운드리 점유율 격차 반도체 위탁 생산을 하는 대만 TSMC와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점유율 격차가 3분기에 더욱 커졌습니다. 삼성 파운드리의 2분기 매출은 55억 8800만 달러였는데요, 3분기에는 0.1%가량 줄어든 55억 8400만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매출액 및 점유율 기준으로 세계 파운드리 시장의 2위를 지키기는 했지만 2분기 대비하여 둘 다 하락하였습니다. 또한 매출액은 상위 6개 기업 중에 삼성 파운드리만 하락했습니다. 반면에 1위를 유지하고 있는 TSMC의 성적표를 .. 2022.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