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 및 꿀팁

MFI(Money Flow Index)란? MFI로 주식시장의 과열도 확인하기

by hoon4038 2023. 7. 29.

 ADR, RSI, MDD 지표 등 주식에는 많은 보조 지표들이 있는데요, 오늘은 과잉 매수인지 과잉 매도인지 식별하는 데 사용하는 기술적 지표인 MFI에 알아보겠습니다.

 

MFI
MFI란?

 

 MFI(Money Flow Index) 지수란?

 MFI는 주식의 매수와 매도의 상대적인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예전에 설명드린 RSI와 다르게 MFI는 증권 혹은 주식의 가격과 함께 거래량도 고려하기에 거래량이 반영된 RSI라고도 불립니다.

 

 MSI를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데요, 기간은 변경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14일을 기준으로 구합니다.

-. TP(Typical Price, 평균가격) = (당일 고가 + 당일 저가 + 당일 종가)/3

-. MF = TP x 거래량

-. MFR(Money Flow Ratio) = N일간 양의 MF / N일간 음의 MF

-. MFI = 100 - 100/(1+MFR)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N일간의 각각의 고가, 저가, 종가를 평균 내어 TP를 구하고, 거래량을 곱해 MF를 구합니다. 전날보다 TP가 상승한 날의 MF들을 더해 양의 MF를 구하고 하락한 날들의 MF들을 더해 음의 MF를 구해줍니다. 최종 MFR을 이용해 MFI를 구해줍니다.

 

 식에서 알 수 있듯이 MFI가 높다는 것은 과잉 매수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80을 기준으로 80 이상이라면 과잉매수, 20 이하라면 과잉매도 구간이라고 봅니다.

 

 RSI와의 차이와 활용법 및 MFI의 단점

 RSI와는 다르게 거래량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하는 지표이므로 MFI는 주가의 추세가 역전하는 신호를 볼 수 있다고 봅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20에서 상향돌파를 하면 매수, 80에서 하향돌파하면 매도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MFI가 잘못된 신호를 보낼 수도 있는데요, 추세가 반전되지 않아 실제로 20을 상향돌파해서 매수하였지만 추가가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MFI도 다른 지표들과 마찬가지로 참고만 하시고 절대적으로 믿으시면 안 됩니다.

 

2022.09.23 - [재테크 공부 및 꿀팁] - #11 주식 보는 보조 지표, RSI (상대 강도 지수)

 

#11 주식 보는 보조 지표, RSI (상대 강도 지수)

주식 투자를 하면서 매매기준으로 저는 기업의 재무제표, VIX지수 등 많은 지표들을 참고하고 있습니다. 재무제표로도 충분히 기업에 대해 알아볼 수 있고 VIX지수로 매수를 할지 말지 고민하고

hoon4038.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