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전 세계 1위 국가인 미국의 또 다른 이름은 천조국입니다. 천조국이란 이름은 미국의 국방비가 1000조 원을 넘기에 붙여진 이름인데요, 이번 주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내년 국방수권법안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미국의 국방비에 대해서와 투자 아이디어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천조국 미국, 계속해서 올리는 국방비
처음 바이든 행정부가 요청했던 8,100억 달러보다 450억 달러 증액한 8,500억 달러(1,114조 원)의 국방비 예산 배정인 국방수권법안에 서명하였습니다. 이것은 미국이 러시아와 중국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조치를 취한 것입니다. 이번 국방수권법안이 발효된다면 미국은 올해인 2022년에 이어 매년 4.3% 인상한 셈이 됩니다.
2015년에서 2021년까지 국방 예산 증가율은 1% 이하였지만 이번 연도는 육군과 해군의 무기 구매를 위해 전년 대비 50% 이상씩 인상하였습니다. 미국이 국방 예산을 증액한 가장 큰 이유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나면서 우크라이나를 지원해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쟁이 끝나고 지원해준 무기에 대해 보상을 받을 텐데요, 이 과정에서 군수 업체인 록히드마틴, 레이시온 등이 수혜를 볼 것이라 예상됩니다.
우크라이나의 반격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는 HIMARS(하이마스)는 강철비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고속기동포격로켓시스템입니다. 유도 로켓도 장착하여 로켓 1발에 축구장 면적 1개를 초토화시킬 수 있는 위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하이마스 외에도 재블린 등 다양한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국방비를 체감하기 위한 비교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일본의 1년 국가예산이 1,000조 원인데 미국은 국방비로만 일본의 1년 국가 예산을 뛰어넘었습니다. 정말 천조국이라는 뜻이 이해가 되는데요, 사실 이렇게 많은 돈을 국방비로 쓸 수 있는 큰 이유 중 하나는 달러로 세계 경제를 지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22.09.15 - [경제 및 이슈] - 달러(Dollar)의 역사
달러(Dollar)의 역사
안녕하세요, 오늘은 블로그를 처음 시작할 때 다뤘던 세계 화폐의 중심인 달러(Dollar)의 역사에 대해서 더 깊이 다뤄보고자 합니다. 이전에 9월 1일에 작성하였을 때만 해도 1달러에 1340원이었는
hoon4038.tistory.com
미국의 국방비와 관련된 록히드마틴
이렇게 무기 장사를 함으로써 수혜 받는 기업이 있는데요, 바로 미국의 대표 방산 업체인 록히드마틴(LMT)이 있습니다. 시가총액도 1000조 원을 넘고, 배당률도 현재 2.5%가량으로 많이 주는 편에 속합니다. 아래의 차트를 보시면 2022년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과 함께 주가가 크게 오른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록히드 마틴은 미국의 어마 무시한 국방비만으로도 주가가 오를 여지가 있지만 여기에 더해 우주 항공 산업과도 관련이 있는 기업입니다. 로켓 발사 관련된 회사도 인수하면서 앞으로 치열해질 우주 산업도 준비 중입니다. 물론 스페이스 X, 버진 갤럭틱 등 많은 경쟁 업체가 있지만 국방 사업으로 나름 안정적인 수익원이 있는 록히드 마틴이 밀릴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저는 예전에 몇 주 매수했다가 일찍 팔았었는데요, 현재의 과열된 주가에서 내려가 매력적인 가격이 된다면 매수를 고민해볼 것 같습니다.
'경제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달 적립식으로 매수하는 SPY ETF (Ft. 워런 버핏) (0) | 2022.12.26 |
---|---|
세계에서 가장 돈이 많은 가문, 로스차일드 가문 (0) | 2022.12.25 |
뉴턴도 주식에 실패하게 만든 영국 남해회사 버블 사태 (1) | 2022.12.19 |
미국 주식 시가 총액 순위 보는 법 (ft.인베스팅 닷컴) (0) | 2022.12.17 |
예상됐던 금리 0.50% 인상, 높아진 최종 금리 (1) | 2022.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