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2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인플레이션의 시대에 들어왔습니다. 비록 현재는 인플레이션의 시대에서 나가고 있는 중이지만 아직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에 대해 정리를 한 적이 없어 간단히 정리해보려 합니다.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은 소비자 물가 지수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정 기간 동안 상품 및 서비스의 평균가격이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복잡한 요인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데요, 주요 원인은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수요가 공급보다 많게 되면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데요, 주로 경제가 성장할 때 발생합니다. 공급 측면에서는 생산 비용이 증가해 기업이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는 경우입니다. 다른 요인으로는 코로나 때 양적완화 정책과 같이 유통되는 통화가 증가할 때 인플레이션이.. 2025. 1. 6. 끊임없이 오르는 금리, 어떻게 대응할까? 오늘 한국은행이 7월 이후 3개월 만에 빅스텝('기준금리 0.50%p 인상')을 밟으면서 서민들의 한숨이 깊어졌습니다. 2012년 이후 처음으로 3.0%대의 기준금리가 되었고 5회 연속 기준금리 상승도 역사상 최초일 정도로 인상 속도가 빠릅니다. 오늘은 이렇게 빠른 금리인상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끊임없는 금리인상은 언제까지? 근본적인 금리인상의 원인은 물가상승률입니다. 10월의 한국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도 10월 대비 5.6% 오르며 5%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8월 6.3%로 정점을 찍고 9, 10월 두 달 연속 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5%대로 높은 수준입니다. 오늘 한국은행은 국내 경기가 둔화되고 있지만, 물가가 목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어 .. 2022. 10.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