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아이폰 및 여러 애플 제품을 쓰고 있으면서 애플 주식을 적립식으로 모아가고 있습니다. 최근에 애플이 자사 제품의 디스플레이를 자체 생산한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어 앞으로의 애플과 삼성전자의 전망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애플의 디스플레이 자급설과 마이크로 LED
이제까지 아이폰, 애플워치, 아이패드 등 여러 애플제품에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OLED패널이 들어가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매출의 상당 부분을 애플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작년 아이폰 14의 패널은 삼성디스플레이가 70%가량을 공급하고 LG디스플레이는 애플워치의 80%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아이폰 15에 들어가는 패널의 비율을 더 늘리기로 해서 앞으로의 애플 디스플레이 자급설이 큰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악재는 LG디스플레이가 전 고점을 회복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게 만들 것입니다.
애플이 앞으로 자급할 디스플레이는 마이크로 LED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OLED와 다르게 기술력이 높아 양산시에도 수율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생산 비용이 높아 삼성전자의 마이크로 LED TV도 1억 원이 넘는 고가인 것을 감안하면 아이폰 및 애플 제품들의 가격 상승도 불가피합니다.
하지만 애플의 디스플레이 자급은 힘들 것이라는 전망도 있는데요, 마이크로 LED는 아직 기술개발이 완벽하게 안되었고 양산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입니다. 또한 가격이 높아 애플 전제품에 적용은 불가능하고 적용하더라고 일부제품에서만 우선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과 삼성전자 전망
애플은 장기적으로 디스플레이 자급을 통해 원가 절감을 이룰 것이라 생각되어 수익개선에는 도움이 될 것 같은데요, 단기적으로는 개발 및 품질에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애플은 이전에도 맥북에 들어가는 CPU를 직접 만들어서 큰 충격을 주었는데요, 이번 마이크로 LED를 통해 다시 한번 큰 충격을 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삼성전자는 호재로는 보이지 않는데요, 삼성디스플레이 주식이 있지만 삼성전자의 재무표에는 삼성디스플레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올해 삼성디스플레이의 매출은 역대급으로 높았지만 내년부터는 아이폰 생산량 감소 등으로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도 마이크로 LED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빨리 양산하여 경쟁에 참여해야 합니다.
2022.11.02 - [경제 및 이슈] - 무너지고 있는 나스닥을 끌어올린 애플(AAPL)
무너지고 있는 나스닥을 끌어올린 애플(AAPL)
지난주 미국 나스닥 시장은 메타(META), 아마존(AMZN)의 실적 발표와 함께 큰 하락을 맞이하였습니다. 하지만 금요일 3%의 큰 상승을 하였는데요, 큰 상승을 이룬 것은 미국 시가총액 1위의 애플(AAPL)
hoon4038.tistory.com
'경제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대중교통 및 택시 기본 요금 인상 (0) | 2023.01.30 |
---|---|
경유 휘발유 차이(Ft. 경유가 더 비싸진 이유) (0) | 2023.01.20 |
연금계좌 세액공제 한도 상향 및 세제혜택 쉽게 알아보기 (0) | 2023.01.06 |
꼭 알아야 하는 2023년부터 바뀌는 것들 Best 8 (0) | 2023.01.03 |
LPG vs LNG 차이와 특징 (0) | 2023.01.02 |
댓글